청원군의회 ‘반대특위’ 완고…정부선 “끝까지 설득”
청주·청원 통합 무산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나서 통합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지만 통합 열쇠를 쥔 청원군의회 의원들이 움직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청원군의원들은 지난해 9월7일 청주·청원 통합 반대 특위를 꾸린 뒤 꾸준히 통합 반대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의원들이 통합을 결의하지 않으면 통합은 없던 일이 되고 만다.
지난 29일 한나라당 소속 의원들이 특위 이름에서 ‘반대’를 빼자는 제안을 했지만 이마저 무산됐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군의회가 마치 통합 반대 여론만을 듣는 것으로 오해받고 있어 특위 이름에서 ‘반대’만이라도 빼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김영권(57·민주당) 특위위원장에게 전달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행안부 등의 타율 통합 추진에 맞서 5개월째 특위를 운영해 왔는 데 이제 와서 이름을 바꾼다는 것이 말이 되지 않는다”며 “위원장으로서 명칭 변경 거부 뜻을 밝혔고, 한나라당 의원들이 더 이상 안건으로 상정하지 않아 명칭 변경 건은 없던 일이 됐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명칭 변경 요구는 당 안팎의 회유·압박에 시달려온 한나라당 의원들의 거부할 수 없는 몸짓 정도일 것”이라며 “민주당은 물론 한나라당 의원들도 통합 반대 뜻에는 변함이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한나라당 소속 한 의원은 “다양한 주민들의 뜻을 수용한다는 뜻에서 특위 이름을 바꾸려 한 것일 뿐 통합 반대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며 “의원들의 생각이나, 시기적으로 보나 통합은 물건너간 것으로 보고 있다”고 통합 무산을 기정사실화했다.
오성균 한나라당 청원군 당원협의회위원장은 “통합을 바라는 주민들의 뜻을 전하고 의원들을 통합 찬성 쪽으로 유도하고 있지만 조직적인 반대 세력 때문에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이달이 통합 마지노선”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청원군 읍·면 주민과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통합 간담회를 열고, 의원들을 개별 접촉하며 통합에 열을 올리던 행안부가 잠잠해지자 통합 무산 쪽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윤종진 행안부 자치제도과장은 “통합 반대 특위가 너무 완강해 통합 관련 이해·설득 작업을 하지 못했을 뿐 청주·청원 통합은 여전히 유효하다”며 “시기가 되면 다시 통합 설득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