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9일 오전 충북 청주시 문화동 충북도청에서 열린 충북 업무보고에서 송광호 한나라당 최고위원(맨왼쪽)을 소개받으며 박수를 치고 있다. 청주/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경제자유구역, 정 총리는 ‘시기 상조’-이 대통령은 ‘여건 됐다’
말 한마디에 갈팡질팡…‘세종시 무마용’ 비난도
말 한마디에 갈팡질팡…‘세종시 무마용’ 비난도
충북도가 10여 일 사이 총리와 대통령의 말 한 마디에 울고, 웃었다.
충북도는 지난달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를 활성화하고 관련 기업을 유치해 세계적인 의료·건강·교육 복합 단지를 이루는 ‘오송 메디컬 그린시티’(오송 의료 녹색도시)종합 계획을 내놨다.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오송 생명과학단지, 오창 과학산업단지를 묶는 오송 의료 녹색도시 사업은 충북이 야심 차게 추진해 온 미래 사업이다.
국외 의료기관, 대학 등과 자본을 끌어들여야 하는 사업의 열쇠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이었다. 충북도는 지난해 6월 오송과 오창, 청주공항을 아우르는 28.10㎢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 달라고 지식경제부에 신청했다.
정운찬 총리가 찬물을 끼얹었다. 정 총리는 지난달 23일 <청주문화방송>에서 열린 충북언론인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전국 6곳에 지정된 경제자유구역도 제 역할을 못해 재평가를 하고 있다”며 “재평가 뒤 검토해 볼 수는 있지만 지금은 시기상조”라고 못을 박았다.
이승훈 정무부지사 등이 나서 “배신감을 느낀다.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안 되면 오송메디컬그린시티도 물건너간다”고 성토했으며, 사업 우려 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왔다.
총리의 시기상조론 뒤 18일 만인 9일 충북을 찾은 이명박 대통령의 선물 보따리가 충북을 웃게 했다.
이 대통령은 “과거 경제자유구역이 많이 지정돼 정부가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지만 충북 오송·오창은 준비돼 있고 여건이 마련돼 있어 지정하는 게 좋겠다”고 밝혔다. 대통령 방문 뒤 기자 간담회를 연 정우택 충북지사는 “충북의 산업지도를 바꾸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오송 메디컬그린시티 성공의 선결 과제가 경제자유구역 지정인데 이 문제가 해결됐다”고 흡족해했다.
이에 대해 조수종 충북경실련 대표는 “미래 전략 산업은 충분한 검토와 긴밀한 협의 뒤에 추진해야 하는데 말 한 마디 때문에 갈팡질팡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경제자유구역 문제는 세종시 원안 고수를 희석하려는 정치적 꼼수라는 의혹을 버릴 수 없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