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발전기금·비리 근절·특목고 증설 등
예비후보 5명 앞다퉈 발표 ‘실효성 도마
예비후보 5명 앞다퉈 발표 ‘실효성 도마
대구시 교육감 선거에 나설 예비후보들이 잇따라 선거공약을 발표해 실현 가능성 여부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신평 후보(54·경북대 로스쿨 교수)는 18일 ‘대구교육발전기금’의 설립을 제안했다. 그는 “대구시교육청의 청렴도 최하위, 학력 저하, 원어민 교사 배치 실패 등 불거진 문제점들을 개선하려면 재원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신 후보는 “이를 위해 출향인사와 교육 관련 장학재단, 교육단체, 대구시민들이 뜻을 모아 수백억원대의 대구교육발전기금을 설립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이상호 후보(61·전 달성교육장)는 “교육 비리의 근본 원인은 인사 청탁과 이권 개입에서 비롯된다”며 “교육공무원 인사위원회와 장학사 시험관리위원회 등에 외부인사를 참여시켜 공정하고 투명한 인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또 “학교 폭력과 체벌 금지, 방과후학교, 자율학습 자유 선택권, 두발과 교복 자유화 등의 내용이 포함된 학생복지인권조례를 제정할 뜻이 있다”고 덧붙였다.
김선응 후보(58·대구가톨릭대 교수)는 “교육의 지역별 격차를 줄이고 고교 선택권을 넓히기 위해 현재 3곳인 특목고를 1개구에 한 곳씩 모두 8곳으로 늘리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이성수 후보(61·전 대구시의회 의장)은 “교육 비리를 없애기 위해 금품과 향응을 제보한 시민들에게 선거법처럼 제공받은 가액의 50배를 포상금으로 주는 신고포상처벌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자”고 제안했다.
정만진 후보(54·대구시 교육위원)는 “교장 자격증 소지자를 대상으로 한 교장공모제 50% 확대 방침은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며 “교장 자격증 여부와 상관없이 교장공모제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후보는 “교장 자격증을 얻기까지 많은 비리가 발생하는것이 교육계 현실”이라며 “교장공모제에서 교장 자격증 여부에 지나치게 의미를 부여하면 교육계 비리 차단이 어려워진다”고 밝혔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