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공약 채택…오세훈 ‘한강르네상스’ 맞서
“잠실·신곡수중보 철거” “환경평가 의무화” 주장
“잠실·신곡수중보 철거” “환경평가 의무화” 주장
한명숙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환경단체와 하천학자들이 제안한 ‘한강 생태복원’을 정식 공약으로 채택했다. 이는 이명박 대통령의 4대강 사업과 오세훈 한나라당 후보가 추진해 오던 한강 르네상스 사업에 정면으로 맞서는 내용으로,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서 한강 복원을 둘러싼 논의가 중요 의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명숙 후보는 “이명박 대통령의 4대강 사업에 편승한 한강운하 사업을 폐기하고 한강을 생명이 흐르는 진정한 생태형 하천으로 복원하겠다”고 최근 밝혔다. 그는 이를 위해 △잠실·신곡 수중보 철거 △지천과 소하천 살리기 △강수욕장 조성 △강변숲 확대 △환경영향평가 의무화 등을 주장했다.
한 후보가 내세운 자연복원은 기존에 한강에 있던 신곡보와 콘크리트 저수제방(호안)을 철거함으로써 백사장을 살리고, 하천과 둔치의 생태계를 연결해 한강을 개발시대 이전인 1960년대 수준으로 충실히 복원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16개의 수중보와 377㎞의 콘크리트 제방을 새로 쌓는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과 정반대되는 내용이다.
이에 견줘 오세훈 후보의 한강르네상스는 보를 제거하거나 백사장을 회복하기보다는 기존의 저수제방을 두고, 그 위에 모래와 돌을 쌓거나 갯버들이나 갈대 등을 심는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의미의 생태형 하천복원과는 거리가 있다. 오히려 여의도·용산에서 중국으로 이어지는 뱃길을 조성하고, 반포·여의도·난지·뚝섬 등 대형 한강공원과 샛강·생태공원을 만들어 한강을 관광·문화·수상레저 공간으로 새롭게 꾸민다는 계획이다.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만들고, 접근성을 높여 한강을 시민들에게 다가가도록 만들겠다는 것이다.
한 후보는 한강 복원 공약에 대해 서울 한강을 살리는 차원만이 아니라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을 알리고, 이에 맞불을 놓는 정책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오 후보는 4대강 사업에 반대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에 따른 것이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오 후보는 지난 7일 서울 태평로 한국언론재단에서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잠실·신곡 수중보를 해체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4대강 반대 움직임의 하나로 제기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며 “수중보를 없애면 한강 수위가 낮아져 취수원 수질의 탁도에 문제가 생긴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오 후보의 주장에 대해 전문가들은 수위와 탁도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지적한다. 염형철 서울환경연합 사무처장은 “탁도는 흙탕물이 유입되거나 녹조류 등이 번식하게 되면 높아지는 것으로 수위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염 처장은 “수위가 낮아지면 취수구의 지점도 함께 낮추면 취수에 문제가 없고, 특히 서울시는 강북취수장, 암사취수장 등 잠실보 영향권 밖에 있는 취수구를 이용할 예정이기 때문에 취수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