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피스 “문서 확인을”…시 “전례없는 일”
제57차 국제포경위원회 연례회의 개최도시인 울산시가 혼획(그물에 걸려 죽은 것)·연구용 고래의 위생처리장(해체장)을 짓기로 했다가 그린피스 등 환경단체의 반대에 부닥쳐 방침을 바꾸고도 문서로 확인할 것을 요구하는 그린피스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울산시는 최근 그린피스 쪽에 우리나라가 포경 찬성의 뜻을 분명히 밝히지 않으면 남구 장생포동에 지을 계획이던 고래 위생처리장을 무리하게 짓지는 않겠다는 방침을 구두로 공식 전달한 것으로 14일 확인됐다.
시는 애초 상업포경이 금지되기 전까지 우리나라 최대 포경 전진기지였던 장생포 주민들이 지난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고래 해체장 건립을 건의하자 사업비 5억원을 들여 장생포에 페수처리장을 갖춘 고래 위생처리장을 지을 계획이었다.
시는 그린피스가 자체 홈페이지에 고래 위생처리장을 ‘고래고기 공장’으로 표현해 우리나라가 포경 찬성국으로 비춰짐으로써 국익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데다 국비 확보도 여의치 않아 위생처리장 건립을 중단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그린피스는 울산시 쪽에 “한국이 포경 반대의 뜻을 국내외에 분명히 밝히기 위해서도 앞으로 10년 안에 고래 위생처리장을 짓지 않는다는 방침을 문서로 확인해 줄 것”을 공식 요구했다.
오영애 울산환경운동연합 사무차장은 “그린피스 쪽이 우리나라의 혼획 고래 수가 일본 다음으로 많은 것에 강한 의혹을 품고 있다”며 “문서 확인이 없으면 그린피스가 홈페이지에 올린 고래고기 공장 표현을 바꾸지는 않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국가기관도 아닌 비정부기구에 자치단체가 문서로 확약을 한 전례가 없는데다 자칫 힘에 눌려 자치단체가 방침을 바꾸는 것으로 비춰질 우려가 있다”며 “문서 확인은 불가하다”고 말했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