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철도 추진 현황
매년 수백억 적자 ‘애물단지’ 우려
용인·의정부, 운영 손실 최소화 고민
김포 ‘사업전환’ 광명 ‘재검토’ 나서
용인·의정부, 운영 손실 최소화 고민
김포 ‘사업전환’ 광명 ‘재검토’ 나서
경기도내 자치단체들이 경쟁적으로 추진해온 경전철이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무리한 사업 추진으로 해마다 몇백억원의 적자를 ‘시민 혈세’로 갚아야 할 경전철 사업을 떠맡게 된 새 단체장들의 고민도 깊어가고 있다.
7일 경기도내 일선 자치단체들의 말을 종합하면, 용인시는 이달 중 경전철 사업을 준공하고 전국 처음으로 운행에 나서려던 계획을 미뤘다. 시 쪽은 “시운전 실시와 민원 해결 등에 3개월이 필요하다”고 하지만 사정이 간단하지 않다.
지난 2001년 시가 용인경전철㈜과 협약을 맺을 당시 하루 이용 승객은 14만6천명으로 예측됐으나, 대중교통 여건이 개선되면서 현재는 절반도 어렵다는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하루 4만명이 이용할 경우 예측수요 대비 이용객이 낮으면 시가 운영적자를 보존해주기로 한 협약에 따라 시는 연간 180억원을 업체에 보조해야 할 상황이다.
김학규 용인시장은 “현재로서는 경전철이 제기능을 발휘해 이용 승객 수요를 늘리는 한편, 시 재정 부담은 줄일 수 있는 확실한 방안을 찾는 일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의정부시는 지난 5일 의정부경전철㈜에 ‘경전철 일부 구간의 일시 공사 중단’을 요청했다. 안병용 시장은 취임 전부터 일부 노선 변경과 지하철 7호선 환승, 도심구간 지하화, 최소 운영수입 보장 조항의 수정을 위한 수요예측 재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해왔다. 시는 2006년 민간사업자와 체결한 경전철 실시협약의 재협상을 위해 법률자문단, 협상전문가, 실무담당자 등이 포함된 전담반을 꾸릴 계획이다.
올해 말 착공 예정이던 김포 경전철사업은 유영록 시장이 과다한 사업비를 문제점으로 들어 중전철 건설로 바꾸면서 백지화됐다. 시 관계자는 “지하철 9호선 연장 쪽으로 전환됐고 사업비와 노선 등의 타당성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광명시 경전철 사업은 민간투자자들의 자금 출자가 2년째 지체되는 가운데 양기대 시장의 취임과 함께 사업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이뤄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전체 사업비의 27%가 자치단체 등이 부담해야 할 건설보조금”이라며 “사업 추진의 부진, 노선의 타당성 등을 고려해 종합 검토안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수원시는 염태영 시장의 취임과 함께 노면전철 가능성을 검토 중이다. 시 관계자는 “이미 전임 시장이 과도한 사업비 문제로 경전철을 스스로 백지화한 만큼 재추진은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다만 화성이라는 문화유산과 대중교통 및 구도심권 활성화를 위한 녹색교통체계의 하나로 노면전차 도입도 신중하게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용덕 박경만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