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과 달리 삭감임금 유지되자 서명운동 나서
현대중공업 노사의 올해 교섭 타결로 정규직 노동자들의 임금은 올랐으나 사내 하청 노동자들의 임금은 되레 깍인 채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아 시정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민주노동당 울산시당과 금속노조 현대중공업 사내하청지회는 올해 초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이 금융위기에 따른 조선경기 침체를 이유로 사내하청 노동자들의 임금을 30%나 삭감한 뒤 정규직 임금은 크게 올리고도 하청 노동자들의 임금은 원상회복조차 미루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임금을 동결한데 이어 올해 초 사내하청 노동자들의 시급과 수당 등을 각각 10%와 30% 이상 삭감했다.
이후 정규직에 대해선 지난달 교섭 타결에 따라 임금 7만1050원(기본급 대비 4%) 인상, 격려금 150%+250만원 지급 등이 이뤄졌으나 사내하청 노동자들에 대해선 ‘협력사 처우 개선’이라는 원칙에만 합의했을 뿐 삭감된 임금의 원상회복은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사내하청 노동자들은 지난 여름휴가 때도 정규직 노동자들이 2주의 긴 유급휴가를 보낸 반면 대부분 2~5일만 유급으로 인정받았다.
민주노동당 울산시당은 “구조적이고 조직적인 불공정거래와 차별은 수만명에 이르는 하청노동자와 가족의 삶을 갉아먹고 지역경제를 밑뿌리부터 허물며, 사회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며 “사내하청 노동자들의 임금을 원상회복하기 위해 모든 양심세력이 함께 하는 대대적인 서명운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현대중공업 쪽은 “이달 말에서 다음달 초 사이 사내하청업체들과 도급단가 인상 협의가 끝나면 하청업체 직원들의 급여 수준도 나아질 것”이라며 “올해 경영실적과 위기 극복을 위해 함께 노력해준 데 대한 보상을 고려해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