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 승인 미뤄지자 투자중개업체 사업 포기 뜻…‘첨단복합단지’도 차질 우려
충북도가 충북 지역 주민들의 미래라고 꼽던 ‘오송 메디컬 그린시티’(오송 의료 녹색도시) 사업이 무산될 공산이 커졌다.
이 사업을 추진해 온 우종식 비엠시 사장은 16일 “충북 오송지역 등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는 것을 전제로 사업을 추진했는데, 지정이 불투명해지는 등 사업 환경이 달라져 사업을 더는 추진하기 어렵게 됐다”고 사업 포기 뜻을 밝혔다.
충북도는 지역 의료 녹색도시 건설과 첨복단지 조성을 염두에 두고 오송·오창산업단지, 청주공항을 묶는 1.33㎢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뼈대로 한 ‘청주국제공항 중심형 경제자유구역 개발 계획안’을 지식경제부에 신청했으나, 지경부는 ‘전국에 경제자유구역이 지나치게 늘어날 우려가 있다’는 등의 이유로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난색을 보여 왔다.
민선 5기 지방자치 출범과 함께 이시종 충북지사의 지시로 ‘의료·녹색도시 조성’ 전반에 대한 검증위원회가 가동한 점도 비엠시 쪽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시 사업 무산설이 불거지자 이 지사는 “검증위원회를 운영하는 것은 사업 폐지가 아니라, 내실 있고 알차게 사업을 추진하려는 뜻”이라며 한발 비켜갔다.
우 사장은 “오송은 의료·건강·교육, 생명과학 등 미래 산업 가능성과 가치가 매우 높은 곳이지만 경제자유구역 지정 없이 메디컬 시티는 안 된다”며 “인천·부산 등 다른 경제자유지역과 접촉을 하고 있지만 경제자유구역 문제가 빨리 결정되면 오송에서 사업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충북도와 비엠시 쪽은 지난해 9월부터 미국 대학·병원과 6조5천억원대의 투자를 유치해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와 오창 과학산업단지 등에 ‘거대 녹색·의료 도시’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이들은 첨단복합단지 안 16만5천㎡에 지난해 말 투자유치 의향서를 체결한 미국 마이애미대학 당뇨신약연구센터, 심장병 내분비연구센터 등을 만들고, 고속철도 오송역 주변 158만4천㎡에는 2017년까지 4조원을 들여 다국적 제약사, 보험사, 건강 전문 방송사 등이 어우러진 건강 요양 마을을 조성할 계획이었다.
오창단지 66만㎡에도 2015년까지 1조5천억원을 들여 우주 항공, 해양 과학 특수목적학교 등 교육 마을을 세울 계획을 내놨다.
우 사장이 미국 쪽 대학·자본 등과 충북도 사이의 연결고리 구실을 해 왔던 터여서, 이런 구상을 추진하는 데도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우 사장이 미국 쪽 대학·자본 등과 충북도 사이의 연결고리 구실을 해 왔던 터여서, 이런 구상을 추진하는 데도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