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례안 의결땐 큰폭 조직개편
‘공교육 정상화’ 실현여부 주목
‘공교육 정상화’ 실현여부 주목
경기도교육청이 감사관 등을 개방형 직위로 공모하고 학교혁신과를 신설하며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바꾸는 등 큰 폭의 조직개편을 추진중이다. 이런 변화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새바람으로 이어질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기도의회 교육위원회는 16일 경기도 교육청이 낸 ‘행정기구 설치 조례 일부 개정 조례안’ 등을 통과시켰다. 조례안이 본회의 의결을 거치면 다음달 1일부터 경기도교육청 조직이 개편된다.
개정안을 보면, 교육감 주민 직선시대를 맞아 그동안 공무원으로 한정해 임용해 왔던 감사관(3급)과 대변인(4급), 기획예산담당관(4급)이 개방형으로 바뀌어 외부 전문가 채용이 가능해진다. 특히 감사관의 개방직화는 교육과학기술부 지침에 따른 것으로, 교육계 내부 비리의 감시 기능 강화가 기대된다.
또 교육국 아래 학교정책과가 학교혁신과로 바뀌어, 김상곤 교육감의 ‘혁신교육을 통한 공교육 정상화’ 공약을 위한 각종 정책의 입안과 기획, 추진이 이뤄진다. 초등교육 및 중등교육과에서 담당하던 인사는 교원역량혁신과로, 장학 기능 등은 교수학습지원과로 기능에 따라 통합된다. 개정 조례안에 따르면 25개 지역교육청도 교육지원청으로 이름이 바뀌고, 학무국과 관리국 역시 교수학습국과 경영지원국으로 바뀌어 학생, 학부모, 학교에 대한 지원 기능을 강화한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 전문직 숫자가 제한돼 있어 충분하지는 않지만, 최소한 김상곤 교육감의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각종 정책이 추진될 기본 틀이 마련된 셈”이라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