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둔치서 대규모 서식지 발견
당국 “강제이주”…환경단체 반발
당국 “강제이주”…환경단체 반발
4대강 사업이 한창인 금강 둔치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인 맹꽁이들의 서식지가 발견돼 이 일대의 공사가 중지된 사실이 드러났다. 맹꽁이는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해 환경부가 법정보호종으로 지정한 양서류로, 5~7월 물에서 번식하고 가을·겨울에는 땅을 파고 들어가 휴면기를 보낸다. 정부 당국은 맹꽁이들을 다른 곳으로 ‘이주’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환경단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맹꽁이 서식지가 발견된 곳은 충남 부여군 부여읍 부여대교에서 금강 하류 쪽 1㎞가량 떨어진 지점으로 물풀이 무성한 면적 2만5000여㎡의 웅덩이다.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지난 7일 환경영향조사 업체로부터 관련 사실을 통보받고 다음날 출입금지 표지판과 차단줄을 설치했다. 대전국토관리청은 4대강 사업의 일부로 1260억원을 들여, 지난 2월부터 이 일대 둔치를 중장비로 정비하고 풀·나무 등을 심어 테마 초지로 꾸미는 사업을 하고 있다.
인근에 사는 조성완 부여읍 군수2리 이장은 “5~6년 전부터 여름철에 맹꽁이 울음소리가 시끄러울 정도로 들렸다”며 “가물치·메기·붕어 등도 산다”고 말했다. 지난 22일 현장을 둘러본 ‘양서류 전문가’ 문광연 대전 중일고 생물교사는 “20~30㎝ 깊이의 고인 물이 있고 벌레 같은 먹잇감이 많은데다 사람의 출입이 뜸한 곳이라 맹꽁이의 서식지로는 안성맞춤”이라며 “차단줄 바깥에도 맹꽁이가 서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보존구역을 더 넓힐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전국토청은 지난 12일 금강유역환경청에 ‘조치 계획서’를 보내 “맹꽁이 발견이 가능한 내년 6~8월에 정밀조사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이주계획 등 보호 방안을 수립·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단체 등은 ‘정밀조사 뒤 서식지를 보존해야 한다’며 대전국토청 계획을 비판했다. 양흥모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은 “환경영향평가서에 맹꽁이 서식 사실이 누락돼 환경영향평가가 부실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사업 구간에서 제외하고, 서식지를 보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 교사도 “맹꽁이 개체수를 확인하고 채집하는 게 쉽지 않은 일”이라며 “효과가 의심스러운 서식지 이주보다는 보존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금강살리기사업팀 쪽은 “내년 5월까지 해당 지역을 그대로 존치한 뒤 전문가 조사를 거쳐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맹꽁이 이주 계획은 확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부여/글·사진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이슈4대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