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보수·에너지시설화 3가지 해법
시 “환경·경제 모두 고려한 방법 선택”
시 “환경·경제 모두 고려한 방법 선택”
수명을 다한 도심 속 대규모 쓰레기소각장을 어떻게 해야 할까?
경기도 성남시 쓰레기소각장의 사용 가능 햇수(내구연한)가 끝나 이 시설의 처리를 놓고 논의가 뜨겁다. 성남시는 재건립이나 대규모 보수 또는 폐기물에너지화시설 등으로의 전환 등을 놓고 고민중이다. 특히 성남시의 쓰레기소각장 처리·활용 방안은 비슷한 규모와 방식의 소각시설을 갖춘 수도권 여러 자치단체에도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1998년 10월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1동에 세워진 쓰레기소각장의 처리 규모는 하루 600t이다. 이 시설의 사용 가능 햇수는 12년이어서 올해로 수명이 끝났다. 그러나 앞으로 3년 가량 더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이에 시는 이 기간 동안 소각장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새로 지을까? 첫째 방안은 현 소각로를 유지한 채 인근 부지에 같은 소각시설을 짓는 것이다. 사업비는 2000억원 정도이고 운영비는 t당 5만원 정도로 추산된다. 하지만 이는 “판교특별회계에서 끌어다 쓴 돈을 제때 갚지 못하겠다”며 지급유예까지 선언하는 등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는 성남시로서는 상당한 부담이다. 게다가 가능하면 소각을 하지 말자는 환경정책에도 어긋나 논란거리다.
■ 고쳐 쓸까? 다음으로는 소각장 가동을 중단하고 소각로를 대대적으로 보수하는 방안인데, 1000억원이 들어간다. 수명은 10년 정도로 전망하는데, 대수선 공사 기간 2년여 동안 쓰레기를 매립하거나 다른 소각장에서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만만치 않은 게 현실이다.
■ 폐기물 활용한 에너지화시설은? 쓰레기를 선별해 일부는 재활용하고 나머지는 새로 지은 발전소 연료로 사용해 열에너지를 생산·판매하는 방식도 검토되고 있다. 시는 쓰레기를 선별하는 폐기물전처리시설 건립비용(700억원 안팎 추정)만 내면 되고, 1000억원 이상의 발전소 건설·운영비용은 한국지역난방공사 등 발전사업자가 내면 된다. t당 처리비용도 4만원 선이지만, 부지 소요 면적이 넓고 아직 국내에서 기술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반론도 있다.
성남시 관계자는 “중요한 문제여서 지난 1일 공청회를 열어 다양한 의견을 들었다”며 “환경문제와 경제적 측면을 고려한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