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서 2㎞시가 1600여억…4년 뒤 안동 이전
경북도 “팔아서 이사비”…대구시 “연구 특구로”
특구땐 공시지가 매입 ‘절반가’…도 “말도 안돼”
경북도 “팔아서 이사비”…대구시 “연구 특구로”
특구땐 공시지가 매입 ‘절반가’…도 “말도 안돼”
경북도청이 4년 뒤 안동으로 옮겨간 뒤 남게 되는 노른자위인 경북도청 터의 용도를 놓고 대구시와 경북도가 정면 충돌하고 있다.
대구시는 15일 “성서 첨단산업지구와 첨단의료복합단지, 테크노폴리스 등 대구 일부 지역과 경산 일부 지역 등 24.139㎢를 연구개발특구로 지정해달라고 이달 말 지식경제부에 신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개발특구 안에는 경북도청 터 13만9천㎡와 대구 북구 학정동 경북도 농업기술원 터 46만㎡가 포함돼 있다. 경북도청과 농업기술원은 2014년 상반기 안동과 예천이 맞닿는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으로 옮겨 간다.
대구시는 “경북대와 가까운 경북도청 자리를 연구개발특구로 지정한 뒤 산학연구시설 등을 지을 예정이며, 학정동 터는 칠곡지역의 모바일업체를 지원하는 기술연구시설을 세우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경북도는 “말도 안 된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이삼걸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다른 곳을 다 놔 두고 하필 도청과 농업기술원 자리를 특구로 지정하려는 이유를 알 수 없다”며 “이곳은 특구로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노른자위인 도청 터를 팔아서 이전 비용에 보태 쓰려는 경북도의 처지에서는 특구로 지정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대구 북구 산격동에 자리잡은 경북도청 터에는 현재 도청과 경북경찰청, 경북도교육청 등 행정기관이 들어서 있다. 이곳은 도심에서 2㎞ 떨어진 노른자위 땅으로 주거 2종지역으로 정해져 1㎡에 120만~130만원 선에 거래돼 시가로 1600억~1700억원을 웃도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공시지가는 절반 수준인 68만원으로 정해져 있다. 농업기술원 터도 공시지가가 1㎡에 18만원 안팎으로 시세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
경북도는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면 대구시가 시세의 절반도 안 되는 싼값에 땅을 매입하려는 의도가 아니겠느냐”며 의심하고 있다. 오준혁 대구시 과학산업과장은 “경북도에서 반대하면 경북도청 터와 농업기술원 터는 특구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