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에 나무 한 그루를 심더라도 예쁘게 보이기에 앞서 아이들 교육에 도움이 되는지를 먼저 살피자는 뜻입니다.”
김성환 서울 노원구청장(민주당)은 17일 서울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노원구가 모든 사업을 시행할 때 교육적 효과를 따지는 ‘교육영향평가제’를 본격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공원 조성과 하천 정비, 시설물 건축 등 사업의 계획 단계부터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쪽으로 보완하겠다는 것이다. 환경영향평가나 교통영향평가처럼 교육영향평가라고 이름지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 시도하는 이 제도의 안착을 위해 내년 초 관련 조례 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노원구는 소하천 ‘당현천’을 친환경적으로 조성하는 사업에 일단 적용해봤다. 애초 하천 주변을 예쁘게 치장하려고 주로 외래종 식물을 심을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달 초 교사·학부모·전문가 등으로 꾸린 ‘교육영향평가위원회’의 심의를 거치면서 토속 야생화와 수생식물, 밀·보리 등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식물을 심자는 의견이 나왔고, 결국 계획을 수정했다.
우이천 등에는 우리꽃·야생화 단지와 텃밭을 만들고, 노원구 지역의 대학교·도서관 등을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체험학습장으로 꾸미는 구상도 내놨다. 보도블록에 천자문을 새기거나, 길거리 벽화에 별자리나 기후변화 그림을 그리는 아이디어도 가다듬고 있다.
김 구청장은 “내년부터 ‘창의적 체험활동’이 초·중등 교육과정에 포함됨에 따라 학생들의 창의적 체험학습을 도우려 이 제도를 마련했다”며 “지역의 시설을 교재화해 모든 지역을 창의·인성교육의 장으로 만들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