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3조5천억 투자했지만 화학적산소요구량 증가
경기도가 지난 10년간 팔당 수질 개선을 위해 3조5천억원의 한강수계기금을 쏟아넣었지만 최근 4년간 팔당호의 수질을 나타내는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이 더 나빠지는 등 수질 환경 개선에 별 효과를 얻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회 권오진 의원(민주·용인5)은 18일 팔당수질개선본부에 대한 행정감사에서 “경기도가 2000년부터 팔당 수질을 개선한다며 10년간 환경기초시설과 토지 매수 등의 사업에 3조4823억원을 투자했지만 팔당호의 화학적산소요구량은 오히려 더 나빠졌다”고 지적했다. 팔당호의 화학적산소요구량은 2000년 3.2ppm이었으나 2006년 3.3ppm, 2007년 3.6ppm, 2008년 3.8ppm, 2009년 4.0ppm을 기록하는 등 해마다 악화됐다.
권 의원은 “이는 경기도가 실적 채우기에 급급한 나머지 팔당호 주변 오염시설 용지를 매입하기보다 임야와 논밭을 사들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2000년부터 지난해 9월 말까지 한강수계기금 5200억여원이 한강 유역 867만여㎡의 토지매수에 사용됐고, 매수 토지 중 57.8%인 501만여㎡가 임야, 20.0%인 173만여㎡가 밭과 논, 대지였다. 반면 수질오염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공장은 1%에 불과한 8만6천여㎡, 축사는 1.6%인 14만1천여㎡, 숙박·음식점은 5.3%인 46만여㎡에 그쳤다.
권 의원은 “경기도가 사들이는 임야마저 하천과 500m 이상 떨어진 곳이 전체의 40%가 넘는다”며 “이는 예산 소요에 급급해 실적 채우기용으로 매수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