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비정규직 노동자와 민주노총 등 노동·사회단체 회원들이 30일 오후 서울 서초구 양재동 현대기아자동차 사옥 앞에서 ‘간접고용 철폐와 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 전환’을 촉구하며 차도에서 기자회견을 한 뒤 건물 모퉁이 인도에서 농성을 하려다 현대차 직원들과 용역들에게 밀려나고 있다. 이날 현대기아차 회사 쪽은 차량으로 정문을 막고 직원들을 동원해 건물 안팎을 에워싼 채 집회를 막았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불법파견대책위, 600명 설문…42% “노조파업 동의”
금속노조 오늘 총파업 일정 논의…회사, 휴업뜻 비쳐
금속노조 오늘 총파업 일정 논의…회사, 휴업뜻 비쳐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는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사내하청 비정규직 노조의 파업과 관련해 울산시민들의 상당수가 현대차 쪽이 비정규직 노조와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 지역 22개 정당·시민사회단체들이 참여하는 ‘불법파견 정규직화와 비정규직 철폐를 위한 울산대책위원회’는 30일 현대차 울산공장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차 비정규직 파업에 대한 시민여론조사 결과를 근거로 현대차 쪽에 “조건 없이 즉각 비정규직과 교섭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대책위는 최근 여론조사기관인 동남리서치에 맡겨 시민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현대차 비정규직 파업에 대해 41.9%가 ‘적극 동의하거나 동의하는 편’이라고 응답했으며, ‘동의하지 않는 편’은 27.5%에 그쳤고, 30.7%는 ‘보통’이라는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밝혔다.
또 파업 사태의 해결 방안으로는 64.3%가 ‘당사자 간의 교섭’을 들었으며, 26.3%는 ‘정치권이나 지역사회의 중재’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고등법원의 판결이 나지 않았다는 이유로 비정규직과 협상이나 교섭을 유보하고 있는 현대차 쪽의 태도에 대해서는 대다수인 88.0%가 협상을 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현대차뿐만 아니라 지역 안에 다수 존재하는 사내하청 비정규직 제도에 대해서는 ‘점진적으로 개선돼야 한다’가 61.0%로 가장 높았으며, ‘잘못된 제도로 없어져야 한다’가 18.5%, ‘기업의 경쟁력을 위해 필요하다’가 13.7%로 나타났다.
한편, 이상수 금속노조 현대차 울산 비정규직지회장을 비롯한 비정규직 노조원 500여명은 이날로 16일째 1공장에서 점거농성을 이어갔으며, 다른 노조원 300여명이 오전에 2공장의 생산라인 점거를 시도하다 현대차 관리자 및 용역경비원들과 격렬한 몸싸움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비정규직 노조원 32명이 현대차 관리자 및 용역경비원들에 의해 경찰에 넘겨졌다.
현대차 쪽은 “16일째 계속된 불법점거로 매출 손실이 2000억원을 넘어서고, 외부세력의 무책임한 선전선동으로 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며 “사태가 장기화되면 특단의 조처가 불가피하다”고 밝혀 지난 22일부터의 조업 단축에 이어 곧 휴업 조처에 들어갈 뜻을 내비쳤다.
지난 22일 정기대의원대회를 통해 12월 초 총파업을 결의한 금속노조는 1일 오후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열어 구체적인 총파업 일정을 논의하기로 했다. 현대차 정규직 노조인 금속노조 현대차 지부도 금속노조의 총파업 일정이 정해지면 4만5000여명의 조합원들에게 총파업 돌입 여부를 묻는 찬반투표를 실시할 계획이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