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국민참여당 등 야 5당과 종교·시민·사회단체 대표자들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건물에서 열린 ‘현대차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과 4대강 삽질 저지를 위한 비상대책회의’에 참석해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음식물 전달·농성장 방문 빌미로…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는 울산공장 사내하청 비정규직 노조의 파업과 관련해 현대자동차가 비정규직 노동자 67명을 무더기로 고소한 데 이어 이번에는 비정규직 노조에 음식물 등을 건네주려던 현대차 정규직 노조 간부들까지 고소한 사실이 드러났다. 현대차 쪽은 최근 휴업조처 가능성까지 회사 안팎에서 공언하고 나서 정규직 노조의 반발도 점차 커지고 있다.
울산 동부경찰서는 현대차가 고소한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자동차지부 이경훈 지부장 등 3명에게 2일 경찰에 나오라고 요구서를 보냈으나, 이 지부장 등은 불응했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이 지부장 등이 지난달 15일부터 울산1공장을 점거농성중인 비정규직 노조원 500여명에게 음식물과 침낭 등을 보내주려다 이를 가로막는 회사 용역경비원들과 충돌하며 2공장문 경비실 등을 부순 혐의(업무방해 등)가 있다며 지난달 30일 고소했다.
금속노조 현대차지부는 2일 “인도적 차원의 물품 지원까지 막는 회사 쪽 경비원들에 맞선 일부 노조 간부의 행동까지 회사 쪽이 고소를 남발해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며 “이번 사태가 해결될 때까지는 경찰의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현대차는 김진숙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부산본부 지도위원 등 3명도 비정규직 노조원들이 농성중인 울산1공장을 방문해 강연했다는 이유로 같은 혐의로 고소했다. 현대차 쪽은 “과거 쌍용자동차 사태 등에 관여했던 외부세력이 이번 사태를 더욱 확산시키고 있다”고 고소 이유를 들었다. 이에 대해 김 지도위원은 “현대차 비정규직 노조 초청으로 농성장에 들어가 1시간가량 강연했을 뿐”이라며 “민주노총 지도위원이 민주노총 조합원들을 교육한 것도 외부세력 개입이라는 게 말이 되느냐”고 따졌다.
현대차는 지금까지 이상수 현대차 울산공장 비정규직지회장 등 비정규직 노조원 67명을 고소하고 94명을 상대로 현대차 파업 관련해 사상 최고액인 130억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냈다. 강호돈 현대차 부사장은 최근 사내 방송을 통해 “울산1공장 휴업도 고민해야 할 지경에 이르렀다”며 강경 분위기를 고수하고 있다. 휴업조처가 내려질 경우 퇴거명령을 할 수 있고,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경찰력 동원을 요청할 빌미가 될 수 있다. 경찰도 지난 1일 이상수 비정규직지회장 등 6명의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검거 전담반을 꾸린 상태다.
이에 대해 금속노조는 최근 중앙쟁의대책위원회에서 현대차 비정규직 노조 농성장을 경찰이 강제 진압할 경우 전면 총파업에 나서기로 했다. 또 3일에는 모든 사업장에서 2차 잔업 거부를 하고 8일엔 노조 간부 파업을 벌일 방침이다.
울산/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