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대체버스 추가 투입”…노조 “사업주 지원 미봉책”
전북 전주 시내버스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전주시와 전주시의회가 대체버스(전세버스) 추가 투입을 추진하고 있으나 노조 등이 반발하고 있다.
전주시 등은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불가피한 조처라는 견해지만, 대체버스를 투입하면 파업 동력이 떨어진다고 판단하는 노조 등은 “사업주 편들기로 파업 장기화 빌미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주시는 대체버스 45대를 26일부터 25대 더 추가해 70대로 늘리기로 했다. 이렇게 하면 현재 운행률 60%가 67%로 늘어난다. 송하진 전주시장은 25일 호소문을 통해 “설 연휴가 끝나도 파업이 해결되지 않으면 각 학교의 등교를 감안해 운행률을 80%(대체버스 120대)로 끌어올리고, 필요하다면 90%(대체버스 158대) 이상 확대하는 결단도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조지훈 시의회 의장은 지난 24일 “오는 27일 의원 전원회의를 열어 전세버스를 추가로 투입하는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또 조 의장은 “시내버스 운영 전반을 다루는 조사특별위원회 구성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조사특위는 시내버스 회사에 지원하는 보조금의 적정 사용 여부 등을 조사할 예정이어서 회사 쪽에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반면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전세버스 증차가 지금까지 노조 인정을 거부하고 교섭에 불성실하게 임하는 버스사업주들에게 힘을 실어줘 파업이 장기화할 것”이라며 반발했다. 민주노총은 “사업주들이 파업 약화를 위해 신규로 인원을 채용하고 다른 회사 노동자를 데려와 운행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전세버스가 늘어난다면 회사 쪽은 교섭에 더욱 불성실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민사회단체 20여곳도 “증차는 미봉책”이라고 반대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