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올해 안에 1~2인 가구를 위한 ‘도시형 생활주택’ 7000가구를 공급한다고 10일 밝혔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재개발 등으로 소형 주택이 많이 사라지고 있는데도 공급은 적은 상황에서 1~2인 가구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소형 주택 공급을 늘리기 위해 서울시가 정부에 건의해 2009년 도입한 사업이다. 대규모 개발사업과 달리 건축 기간이 6개월~1년으로 짧다.
서울시는 지난해까지 건축허가가 난 도시형 생활주택 9906가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입주한 797가구를 제외한 7000여가구가 올해 입주물량으로 공급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허가가 더 많이 날 것으로 예상돼, 내년도 입주물량도 올해보다 1.5배 이상인 1만5000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서울시는 계속되는 전세난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을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다. 현재 건설규모를 150가구에서 300가구로 확대하는 주택법 개정안이 국회에 계류중이고, 건축심의 대상을 20가구에서 30가구로 완화하는 내용의 건축조례 개정안도 오는 4월 시행될 예정이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50㎡ 이하까지 건설할 수 있지만, 대부분 건설업체들이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20㎡ 이하 초소형 규모로 공급하고 있다. 서울시는 제도를 개선해 건설업체들이 50㎡ 규모까지 주택을 지을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김효수 주택본부장은 “앞으로 도시형 생활주택에 한정하지 않고 다가구·다가구 주택, 아파트 등의 다른 주택 유형에도 소형 주택 공급을 촉진하겠다”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