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욱비 환원율 등 기준 못미쳐
노조 “교육 투자 외면한 결과”
학교쪽 “옛 자료…개선 노력”
노조 “교육 투자 외면한 결과”
학교쪽 “옛 자료…개선 노력”
충북의 대표 사학 가운데 하나인 청주대학교가 부실 대학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전국대학노동조합 청주대지부는 14일 “청주대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최근 내놓은 ‘2012년도 학자금 대출 한도 설정 방안’의 각종 기준에 미달해 부실 대학이라는 불명예를 안을 수 밖에 없게 됐다”며 “대학 부실의 책임은 김윤배 총장의 독선적 운영”이라고 밝혔다.
교과부는 지난 11일 ‘2012년도 학자금 대출 한도 설정 방안’에서 4년제 대학을 평가해 △취업률 45% △재학생 충원율 90% △전임교원 확보율 61% △교육비 환원율 90% 등에 미달하는 대학은 대출을 제한하는 조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께 청주대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정보공시센터(대학알리미)에 밝힌 자료를 보면, 청주대의 취업률은 45.9%, 재학생 충원율은 109.6%, 전임교원확보율은 57.5%, 교육비 환원율은 79.5% 등이다.
교과부 기준에 따르면 청주대는 취업률과 학생 충원율은 턱걸이를 했지만 전임교원 확보, 교육비 환원 등은 기준에 미달한다. 교과부는 지표 4개 가운데 2개 이상 기준치에 미달하면 ‘잠정 대출 제한 대학’(후보군)으로 설정하고, 이들 대학 재학생들은 등록금의 70%까지만 정부지원 학자금 대출을 받을 수 있다.
박용기 청주대 노조 쟁의대책본부장은 “청주대의 부실은 지난 10년동안 실질적 교육투자는 외면하고, 건물 신·증축 등 외연 확대에만 힘써온 결과”라며 “청주대는 평균 등록금 전국 21위, 대학적립금 전국 7위를 기록한 부자 대학이지만 1인당 교육비(161위), 전임교원 확보율(172위),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192위) 등 교육 여건 개선에는 인색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정상수 청주대 대외협력실장은 “노조가 제시한 자료는 2009년 여건을 바탕으로 지난해 발표해 지금은 의미가 없는 것”이라며 “전임교원확보율 등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충분히 기준을 넘어설 수 있어 부실 대학 우려는 말그대로 우려에서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청주대 노조는 지난해 12월28일부터 민주적 학교 운영 등을 요구하며 49일째 총파업을 벌이고 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