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구, 쌀·채소류 안정적 확보…타 자치구도 실시중
공동구매로 단가 낮추기도…“가격 변동 영향 안받아”
공동구매로 단가 낮추기도…“가격 변동 영향 안받아”
3월 무상급식 시행을 앞두고 ‘물가 대란’을 맞은 서울지역 자치구들이 ‘직거래’와 ‘공동구매’로 친환경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데 힘쓰고 있다.
서울시내 자치구 중 처음으로 올해 초등학교 전체 학년의 모든 급식 재료를 친환경 농산물로 쓰는 강동구는 22일 관내 26개 초등학교와 ‘친환경 학교급식 공동이행 협약’을 맺었다.
강동구는 무상급식을 하는 1~4학년과, 유상급식을 하는 5~6학년 모두에 학생 1인당 한끼 식사당 450원의 친환경 식재료 구입비를 지원하고, 각 학교는 쌀·잡곡·채소류 등 농산물은 무농약 이상, 돼지고기·닭 등 축산물은 무항생제 이상, 기타 수산물·김치·가공식품은 국내산을 쓰게 된다. 친환경 쌀은 전남 곡성, 충북 진천, 강원 홍천 등 4개 자매도시에서 직거래로 공급받기로 했다.
주영석 강동구 학교지원팀 주무관은 “1년치를 미리 계약해 가격 변동에 상관없이 학교와 생산지 모두 안정적으로 쌀을 거래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생산지마다 쌀 가격이 조금씩 차이 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6개 학교가 3개월마다 4개 지역 쌀을 돌아가면서 구입하기로 해, 학교간 쌀 구입 비용도 똑같이 맞추기로 했다.
나머지 친환경 농축산물에 대해서는 20개 공급업체를 선정했다. 각 학교는 이 업체를 대상으로 공개입찰로 식자재를 구입한다. 기존의 입찰에는 수백개 업체가 참여해 낙찰 가능성이 낮았지만, 강동구가 심사를 거쳐 20개 업체로 추린 덕분에 이들 업체는 안정적인 거래처가 확보된 셈이다.
강동구와 협약을 맺은 한 영농조합 관계자는 “산지에서 계약재배를 하기 때문에 시중 농산물 가격 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친환경 농산물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자치구에서도 친환경 쌀은 이미 직거래 방식이 자리잡고 있다. 관악·금천·노원·도봉·서대문·성북·은평구 등은 이미 몇몇 자치단체와 친환경 쌀 거래 계약을 맺었다. 마포구와 성동구는 각각 24, 25일 주민 설명회를 열고 친환경 쌀 직거래를 추진할 예정이다.
직거래 방식과 함께 식재료 구입 단가를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2~3개 학교가 공동으로 구매하는 방안도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강동구 9개 초등학교가 시범으로 식자재 공동구매를 한 결과, 한 학교당 2000만원가량 급식 예산이 절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구는 올해 26개 전체 초등학교가 공동구매를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묘곡초등학교 구보영 행정실장은 “서울시 강동교육지원청 산하 93개 초·중학교가 식자재 공동구매를 할 경우 연간 6억2000만원의 예산이 절감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이는 2개 학교가 무상급식을 할 수 있는 금액”이라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직거래 방식과 함께 식재료 구입 단가를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2~3개 학교가 공동으로 구매하는 방안도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강동구 9개 초등학교가 시범으로 식자재 공동구매를 한 결과, 한 학교당 2000만원가량 급식 예산이 절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구는 올해 26개 전체 초등학교가 공동구매를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묘곡초등학교 구보영 행정실장은 “서울시 강동교육지원청 산하 93개 초·중학교가 식자재 공동구매를 할 경우 연간 6억2000만원의 예산이 절감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이는 2개 학교가 무상급식을 할 수 있는 금액”이라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