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번 유찰 건물을 ‘제값에’
시의원 “예산낭비 감사를”
시의원 “예산낭비 감사를”
대구시가 52억원짜리 도심지 3층 건물을 사들였다가 입방아에 올랐다.
시는 17일 “출연기관인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을 통해 지난해 12월31일 대구 중구 국민은행 공평동지점 옛 건물을 52억4천만원에 사들였다”고 밝혔다. 이 건물은 3층 건물과 주차장 등을 더해 면적이 964㎡다. 디지털산업진흥원은 2억원을 들여 이 건물을 리모델링하고, 2억2천만원어치의 장비를 들여와 일자리 창출 교육장소로 쓸 예정이다.
하지만 이를 두고 대구시의회 김원구(52·달서구·공인회계사) 의원은 “거래가 되지 않아 3~4차례나 유찰된 건물을 한푼도 깎지 않고 매입한 경위를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며 “부동산 거래에서 몇 차례에 걸쳐 유찰되면 값이 내려가는 것이 당연한 일이지 않으냐”고 되물었다.
국민은행은 이 건물을 2009년 4월에 58억원에 팔려고 매각입찰공고를 냈지만 팔리지 않자 3차례 유찰 끝에 그해 10월 52억4천만원으로 값을 낮췄다. 부동산업계에서는 3~4차례 유찰된 뒤 1년 넘게 지나면 애초 가격보다 30~40% 싸게 거래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50억원이 넘는 건물을 구입하면서 대구시가 지나치게 서둘렀다는 점도 석연치 않다. 지난해 12월13일 국민은행에 구매의향서를 제출한 뒤 이사회를 거쳐 보름 만에 매입을 끝냈다. 특히 지난해 12월27일 계약서를 작성한 뒤 4일 만에 등기 이전까지 마쳐 의혹을 사고 있다.
일자리 창출 교육장소로 활용을 하려면 굳이 땅값이 비싼 도심지 건물을 구입할 필요가 있었느냐는 지적도 니왔다. 대구시의회에서는 땅값이 싼 외곽으로 나가면 같은 가격으로 훨씬 넓은 건물을 구입할 수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의원은 “시가 뚜렷한 이유 없이 서둘러 비싼 가격에 건물을 구입한 이유를 알 수 없어 의혹을 사고 있다”며 “철저한 감사를 통해 시민들의 혈세가 낭비되지 않았는지 밝혀낼 것”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은 “국민은행이 52억원 밑으로는 팔지 않겠다고 밝혀 어쩔 수 없이 1년 전 유찰금액으로 매입했다”고 밝혔다. 산업진흥원 이득성 경영기획실장은 “지난해 연말 회계연도에 맞추기 위해 건물 매입을 서둘렀으며, 다른 의도는 없었다”고 말했다. 산업진흥원 신봉철 사업팀장도 “문화 분야 일자리 창출 교육장소로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도심지가 적지이며, 외곽으로 나갈 수는 없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