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수 부천시장
김만수 부천시장 “퇴로없다” 토로
“한나라당, 과실만 챙겨가…
김문수 지사 22개로 더 벌려”
“한나라당, 과실만 챙겨가…
김문수 지사 22개로 더 벌려”
경기도에서 뉴타운 사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부천시의 김만수(사진) 시장은 취임 10개월을 넘긴 4일 뉴타운 사업을 ‘달리는 자전거’에 비유했다. “내리고 싶지만 내릴 수도 없고, 되돌릴 수도 없어요. 절벽으로 떨어질 것을 알면서도 페달을 밟으며 갈 수밖에 없는, 그런 구조입니다.”
김 시장은 “뉴타운 사업에 퇴로가 없다”고 했다. “추진위원회 구성 때 조합원 50% 동의를 받는데, 외지의 투기 목적 소유권자가 30%는 되기 때문에 반대가 50%를 넘기 어렵습니다. 지금 방식으로는 주민들이 원하는 계획의 수정이나 보류, 철회를 할 수 없는 거죠.” 사업 확정 고시 이전이라면 사업 철회도 가능한데, 부천·광명은 이미 그 단계를 넘어섰다는 것이다.
뉴타운 사업은 한나라당의 대표적인 ‘먹튀’라고 김 시장은 꼬집었다. “2008년 총선에서 한나라당이 ‘과실’은 다 챙기고 ‘뒷감당’은 나몰라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명박 대통령이 재미봤어도 거의 추가로 사업을 벌리지는 않았지만, 김문수 경기지사는 23개 지구로 대대적으로 확대했다”고 말했다. 김 시장은 “서울은 아파트 가격이 그나마 버텨주고 있지만, 경기지역은 무너지면 다른 수단이 없는 상황인데도 경기도는 한 푼도 지원하지 못하겠다고 한다”며 김문수 지사를 겨냥했다.
뉴타운 사업이 위기에 빠진 원인에 대해 김 시장은 일단 “뉴타운은 아파트값이 계속 올라야 가능한 방식인데, 아파트값이 더 오르지 않는 상황이 현실화됐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정부가 부천 뉴타운 옆에 보금자리주택을 대규모로 추진한 것도 타격을 줬다고 했다. “그린벨트를 개발해 낮은 지가로 분양하는 보금자리 아파트와 오를 대로 오른 뉴타운 땅을 사서 짓는 아파트값이 서로 비교가 되겠습니까?”
주민 반발과 갈등을 줄이기 위해 김 시장은 뉴타운 근거법인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개정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사업 시행 확정 단계에서라도 사업 보류·철회가 가능하도록, 조합이 아니라 선거관리위원회가 주민 의사를 확인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부천/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장밋빛 뉴타운이 ‘잿빛’으로…“1~2억 더내라니”
■ 정부, “방사능 7일 한반도 유입” 또 뒷북 발표
■ “영업정지 7개 저축은행 모두 매각 대상”
■ 김해을 단일화 유시민-이인영 ‘거친 설전’
■ [이종석 칼럼] 이명박 대통령의 나라
■ ‘아덴만 여명’ 육군장성이 국정원에 가는 까닭
■ PCS는 애물단지? 잘하면 ‘통신비 인하’ 효자노릇
■ 정부, “방사능 7일 한반도 유입” 또 뒷북 발표
■ “영업정지 7개 저축은행 모두 매각 대상”
■ 김해을 단일화 유시민-이인영 ‘거친 설전’
■ [이종석 칼럼] 이명박 대통령의 나라
■ ‘아덴만 여명’ 육군장성이 국정원에 가는 까닭
■ PCS는 애물단지? 잘하면 ‘통신비 인하’ 효자노릇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