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충청주민 244만명 서명 전달…“대선공약 이행” 촉구
대전시장 ‘합리적 결정’ 성명도
청와대가 다음달 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를 최종 결정하기로 한 가운데, 충청권 입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
과학벨트 대선공약 이행 범충청권 비상대책위원회는 5일 오후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역 편차를 조장하고 불균형을 당연시하면서 국가권력을 잡기 위해 사기 행각을 일삼는 대통령과 정권에 온 국민이 분노하고 있다”며 “이제라도 정부는 민심을 겸허히 수용해 국민들 앞에 사죄하고 대선공약대로 과학벨트 입지를 충청권으로 확정할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충청권 국회의원들과 충청향우회, 비대위 위원 등 150여명은 기자회견 뒤 대통령에게 전하는 호소문과 충청권 주민 244만명의 서명지를 청와대에 전달했다. 지난 2월 말부터 한달여 이뤄진 주민 서명운동에서 대전 100만명, 충남과 충북은 각각 64만명과 80만명이 서명했다. 이는 충청권 주민 500만명의 절반에 가까운 수다.
이날 염홍철 대전시장은 성명서를 내어 “정부와 여당이 공약 이행의 진정성은 보이지 않고 때마다 ‘법대로 하겠다’라고만 하고 있으니 안타깝기 그지없다”며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부작용을 반면교사 삼아 신뢰에 기반한 입지 결정이 합리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또 염 시장은 충청권을 명시하지 않고 과학벨트를 추진하게 된 이유와 입지 선정 세부기준 및 가중치, 정책 수요자인 과학계와의 소통 계획 등을 밝히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한편 지난 1월 제정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이날 시행에 들어가, 7일 과학벨트위원회(위원장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가 출범한다. 과학벨트위원회의 산하 분과위인 입지평가위원회는 △연구·산업기반 구축 및 집적도 △정주 환경 △국내외 접근과 부지 확보의 용이성 △지반 안전성 및 재해 안정성 등을 따져 입지를 선정하게 된다. 최근 여권 핵심 관계자는 “과학벨트의 핵심 시설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을 배치할 곳은 충청권이 가장 적합하고, 기초과학연구원 분원은 영남·호남 등에 둘 수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