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배치안’ 지역반응은
경북 ‘환영’ 대구 ‘싸늘’
광주·창원 “핵심 달라”
경북 ‘환영’ 대구 ‘싸늘’
광주·창원 “핵심 달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분산배치안을 접한 충청권에서는 현 정부의 국책과제 추진 방식에 강한 불신을 드러내며 수용하기 어렵다는 여론이 높다. 중이온가속기 등 핵심 시설을 충청권에 두는 안이지만, 과학벨트선정위원회가 입지 선정 활동을 시작하기도 전에 여권 핵심에서 흘린 안이라는 이유에서다. 여론 떠보기 아니냐는 정서가 깔려 있는 것이다.
7일 충청권 시민사회단체, 자치단체, 정당 등은 “분산배치는 국민 권익에도, 국익에도, 국가의 미래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분산배치안이 충청권에 핵심 시설을 주는 안인데도, 이런 반응을 보이는 것은 이명박 대통령과 현 정부의 국책과제 추진 방식에 대한 강한 불신감 때문이다. 애초 이 대통령은 지난 대선 당시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를 공약했다. 그러나 이후 공약하지 않았다고 번복했고, 과학벨트 입지를 원점에서 결정하겠다고 발언했다. 이어 과학벨트 입지는 정치적 논리가 아닌 과학계의 합리적인 결정에 따라야 한다고 발을 뺐다.
‘과학벨트 대선공약이행 범충청권 비상대책위원회’ 금홍섭 공동집행위원은 “현 정권 집권 이후 충청권은 (이 대통령의) 행정도시 백지화 시도에 이은 과학벨트 말바꾸기로 홍역을 겪어 정권에 대한 불신이 매우 커졌다”며 “과학벨트선정위원회가 입지 선정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도 하기 전에 흘러나온 분산배치안을 충청민이 받아들이겠느냐”고 되물었다. 시민 권학준(46·대전 둔산동)씨는 “신공항 백지화 때문에 반발하는 경상도 민심을 달래려고 나온 대책이 뻔하다”며 “하도 속아서 (이 대통령이) 콩으로 메주를 쑨대도 안 믿는다”고 말했다.
경북과 대구, 경남 창원, 광주 쪽도 ‘정치적으로 입지를 결정해서는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경북은 기초과학연구원 분원 배치안을 대체로 반기는 반면, 광주광역시와 경남 창원은 여전히 과학벨트 핵심 시설 유치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대구의 반응은 싸늘했다.
이삼걸 경북도 부지사는 분산배치안를 반긴 뒤, “과학벨트는 결코 정치적으로 결정해서는 안 된다”고 못박았다. 강운태 광주시장은 “입지 선정은 정치적 논리를 배제하고 국가 백년대계와 지역 균형발전을 앞세워야 한다”며 “광주로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완수 경남 창원시장은 “창원은 산업과 기초과학의 시너지 효과가 가장 크게 일어날 수 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반드시 과학벨트가 유치돼야 한다”고 밝혔다.
대구시의회 신공항 밀양유치특별위원회 오철환(53) 위원장은 “(과학벨트를 분산배치한다고) 신공항 백지화에 반발하는 민심이 가라앉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송인걸 기자, 전국종합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