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서울 강남권·경기도 접근 쉬워”
전문가 “10년뒤엔 1조원 이득” 분석도
전문가 “10년뒤엔 1조원 이득” 분석도
주로 공군 수송 기지와 국가원수 등 국빈 출입국 시설로 쓰이는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을 민간항공도 함께 이용하자는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이후 처음으로 국내 항공물류기지를 수도권에 유치하려는 움직임이어서 내년 총선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쟁점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10일 성남시 내부 의견을 종합하면, 시는 서울 강남권과 경기도 접근 교통망이 뛰어난 서울공항을 수도권 주요 도시기반시설이 밀집한 경기 남동부와 서울 남동부의 풍부한 항공수요를 흡수할 수 있는 입지로 보고, 민·군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여러모로 검토 중이다.
시는 1971년 들어선 서울공항 주변에는 분당·판교·위례 새도시는 물론 서울 강남·송파·서초 등 상당한 인적·물적 항공수요 기반이 있고, 이 공항에서 2년마다 열리는 서울국제에어쇼를 남한산성 등 역사·문화 관광산업에 연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저가 항공사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항공산업에 직접 참여하는 사례도 연구해, 서울공항을 기반시설로 항공산업 육성책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이재명 성남시장은 최근 열린 직원회의에서 “서울공항 민·군 공동활동 방안을 강구하라”라고 지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치권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서울공항 민간 활용 방안에 힘을 싣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7일 성남시민회관에서 ‘성남발전과 서울공항의 민·군 공동활용 방안’이란 정책토론회를 연 신상진 한나라당 의원(성남 중원)은 “안보를 이유로 서울공항 고도 제한이 불가능할 것처럼 느껴졌지만 두 번씩이나 완화됐다”며 “시민 불이익과 고통을 해소키 위해 서울공항을 민·군이 공동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항공대 항공운항학과 송병흠 교수도 이날 발제를 통해 “수도권 서부지역은 인천·김포공항 등이 있지만 동부엔 이렇다 할 공항이 없다”며 “민·군 공동시설로 활용할 경우 10년 뒤엔 1조원의 이득을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서울공항이 민간에 개방되면 공항 접근시간이 줄어드는 것을 통해서만 연간 120억원이 절약된다는 것이다. 송 교수는 민·군 공동 사용이 이뤄질 경우 서울공항이 국내 항공네트워크의 중심지로 부상하는 것은 물론 항공 물류기지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따라 성남시 항공운송 관련업체들은 연간 256억원의 수입증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와 관련해, 토론회에 참석한 공군본부 박형건 중령은 서울공항의 중요 임무를 설명한 뒤, “이 문제는 공군이 자체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 국가 상위기관의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