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전북 김제시 용지면 용동초등학교에서 아이스하키부 창단식이 열렸다. 창단식 뒤 선수들과 학부모, 교사, 아이스하키협회 및 교육청 관계자 등이 기념사진을 찍었다. 용동초등교 제공
김제 용동초, 전북 두번째 창단
협회서 장비·유니폼 지원받아
협회서 장비·유니폼 지원받아
폐교 위기까지 몰렸던 시골의 작은 초등학교가 아이스하키부를 창단했다.
전북 김제시 용지면 용동초등학교는 지난 17일 교내에서 아이스하키부 창단식을 열었다. 전교생 49명 중 2~6학년 19명(남 15명, 여 4명)이 선수다. 전북지역 초등학교 중 아이스하키 팀은 전주 중산초등학교에 이어 두번째다.
이 학교에 아이스하키 팀이 꾸려진 데는 지난 3월 부임한 송원용(37) 교사의 노력 덕분이다. 그는 전주 중산초등교에서 4년 동안 감독 교사를 맡았다. 그는 “도시학교도 힘든 이 운동을 시골학교에서 할 수 있겠느냐”는 주변의 걱정에도 팀 창단에 나섰다. 서영숙(59) 교장의 “마음이 풍요로운 아이를 가르치고 싶다”는 교육철학도 팀 창단에 힘을 보탰다.
학교 쪽은 학부모 안내장을 통해 팀 창단 의견을 들었다. 학부모 대부분이 찬성했다. 다행히 연습장인 전주 빙상경기장과 학교가 차량으로 20분 거리로 가깝다. 그러나 최대 걸림돌은 장비를 갖출 예산이었다.
보호 장비가 많은 아이스하키는 장비와 유니폼에 1명당 최소 150만원이 들어간다. 송 교사는 대한아이스하키협회와 전북아이스하키협회에 구원을 요청했다. 대한아이스하키협회는 스케이트·스틱 등 장비를, 전북아이스하키협회는 유니폼 등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선수들은 전주시 중화산동 빙상경기장 지하링크에서 화·목요일 1시간씩 훈련한다. 링크 사용료가 시간당 6만6000원이다. 학부모들은 사용료와 식비 등을 맡기로 했다. 선수 상당수는 아직 스케이트조차 잘 탈 줄 모른다. 그래서 2~3개월은 스케이트 타는 연습에만 집중할 예정이다. 아직 걸음마 단계다. 제대로 갖춰진 게 없다. 포지션도 정해지지 않았고, 주장 선수도 없다. 맏형 격인 최봉우(6학년)군은 스케이트를 잘 타 주장 재목으로 꼽힌다. 아이들의 목표는 4~5년 뒤 전국대회 우승이다.
송 교사는 “이제 막 생긴 팀이어서 비용이 들어갈 곳이 많지만 지원금이 전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아이들이 꿈을 키울 수 있도록 도움의 손길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서 교장은 “소수의 엘리트 선수 육성보다는 아이들이 특기 발굴 기회를 갖도록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