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에 철도대 비중 줄인 수정 통합신청서 제출
도 “지역합의 먼저”…충주대 축소 우려에 반대론도
도 “지역합의 먼저”…충주대 축소 우려에 반대론도
종착역을 앞둔 것처럼 여겨지던 국립 충주대와 한국철도대학 통합이 안갯속으로 접어들었다. 충북도가 통합 신중론을 제기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충주대는 14일 오후 교육과학기술부에 두 대학 통합 신청서를 냈다. 통합 신청서를 보면, 두 대학은 내년 3월1일 ‘한국교통대학교’(일반종합대)로 통합하고 대학 본부는 충주대에 두기로 했다. 통합 뒤 학사과정 입학 정원은 충주대가 올해 입학정원 2101명에서 186명을 줄이는 대신, 철도대는 올해 224명에서 51명을 늘리기로 했다. 3년동안 지원될 대학 구조조정 사업비 400억원은 경기 의왕시 철도대 캠퍼스에 211억원(52.7%), 충주캠퍼스 46억원(11.5%), 증평캠퍼스에 24억원(6%) 등으로 배분하고 119억원을 공통사업비로 쓰기로 하는 등 철도대 쪽에 투자를 집중하기로 했다. 두 대학은 지난 4월21일 통합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엄정수 충주대 기획과장은 “다음주께 구성될 교과부 대학통폐합심의위원회에서 두 대학의 통합을 집중 심의하게 될 것”이라며 “교통 특화 대학 구성을 위해 학사 정원을 조정했으며, 우선 전문대에서 종합대학으로 바뀌는 철도대 쪽에 쏠린 예산안을 편성했지만 통합 뒤 실행 예산은 별도로 짤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두 대학은 지난달 27일 충주대 정원을 269명 줄이고, 철도대 정원을 126명 늘리는 입학 정원 조정안을 교과부에 냈다가 충북도 등의 반발이 잇따르자 조정안을 제출했다. 충북도가 통합 신중론을 제기하고 나선 것은 통합이후 철도대 비중이 커지고 충주대 규모가 축소될 가능성을 우려하는데 따른 것이다.
충북도는 이날 충주대와 충주시의회, 대학 주변 주민, 학생회 등에 오는 30일까지 대학 통합 관련 여론 수렴을 위한 토론회·공청회 등을 열어 여론을 모아달라고 요구했다.
정성엽 충북도 교육지원팀장은 “두 대학 통합 내용에 대한 지역 사회의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며 “통합 절차 과정 등을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소속 충주시의원 10명도 성명을 내어 “철도대에 의한, 철도대를 위한, 철도대로 흡수되는 통합은 안된다”라며 “충주대는 통합 진실을 공개하고 원점에서 통합 협상을 새로 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 11조를 보면 대학이 수도권 대학과 통합을 할 때 시·도지사가 교육과학기술부에 의견을 내고,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심의를 거치도록 규정하고 있어, 충북도의 의견은 두 대학의 통합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대해 장병집 충주대 총장은 “두 대학의 통합은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 남으려는 최후 전략이며, 명운이 걸린 사업”이라며 “이시종 충북지사와 지역 주민들에게 통합에 대한 이해와 협조를 바란다”고 밝혔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