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29곳 광역단체 5위…공사·추진 합치면 60곳 넘어
지자체, 지방세 등 재정 도움 ‘팔짱’…막개발 우려 커져
지자체, 지방세 등 재정 도움 ‘팔짱’…막개발 우려 커져
충북지역이 골프장 공화국으로 바뀌고 있다. 환경단체는 막개발을 우려하고 있다.
지난달 충북 진천군 문백면에 ㅋ골프장이 문을 열면서 충북지역에는 골프장 29곳이 운영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경기(127곳), 강원(42곳), 경북, 제주(각 40곳)에 이어 광역 자치단체별 골프장 수 5위 수준이다.
1989년 7월 청원군 오창에 ㄱ골프장이 처음으로 들어선 뒤 90년대에 7곳이 조성됐다. 90년대 말부터 전국적으로 골프장 바람이 불자 충북이 집중 표적이 됐다. 2000년 들어 해마다 1~2곳꼴로 골프장이 조성되더니, 2008년 이후 3년 만에 12곳이 들어섰다.
이미 운영중인 29곳 말고도 공사중인 골프장이 8곳, 추진중인 곳이 29곳이다. 골프장 면적으로 보면, 이미 들어서 운영중인 곳이 2701만여㎡, 공사중인 곳이 757만여㎡, 추진중인 곳이 2817만㎡다. 공사중이거나 추진중인 곳까지 모두 골프장이 들어서면 6276만여㎡다. 국제규격 축구장(7000㎡ 안팎) 9천개, 청주시 상당구 면적(6901만㎡)과 맞먹는 면적이다. 가히 골프장 공화국이라 할 만하다.
충주와 음성은 골프장 요지로 떠오르고 있다. 충주는 공사중인 곳이 3곳, 추진중인 곳이 9곳이다. 음성은 공사중 2곳, 추진중 12곳이다.
김왕수 음성군 체육진흥담당은 “충주, 음성 등 수도권과 가깝고, 교통이 좋아 접근성이 빼어난 곳이 포화상태에 이른 수도권 골프장 대체지로 각광받고 있다”며 “자치단체로서는 골프장이 세수 증가, 관광 수요 확대에 따른 경제 효과 등의 매력이 있다”고 말했다.
김 담당의 지적처럼 골프장은 자치단체들의 짭짤한 수입원이 되고 있다. 자치단체는 골프장 건설 초기 때 회원제 골프장은 한 홀당 3억원 안팎, 대중 골프장은 1억원 안팎의 세금 수입을 올릴 수 있으며, 골프장이 운영을 시작하면 해마다 지방소득세·취득세·재산세 등으로 안정적인 세금을 확보할 수 있다. 지난해 충주시는 골프장에서 40여억원, 청원군은 60여억원의 세수를 올렸다.
이에 대해 환경단체는 막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염우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최근 골프장이 충북지역 산과 들을 무서운 속도로 장악해 나가고 있지만 자치단체들은 세금 수입이라는 유혹에 정신이 팔려 넋을 놓고 있는 실정”이라며 “주민들의 갈등을 조정하고, 생태환경을 보존하는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미래 자산인 자연 환경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염우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최근 골프장이 충북지역 산과 들을 무서운 속도로 장악해 나가고 있지만 자치단체들은 세금 수입이라는 유혹에 정신이 팔려 넋을 놓고 있는 실정”이라며 “주민들의 갈등을 조정하고, 생태환경을 보존하는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미래 자산인 자연 환경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