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되고도 오랫동안 추진위원회가 설립되지 않거나 사업성이 낮아 정비사업 추진이 불투명한 서울시내 재개발·재건축 정비예정구역 31곳이 해제됐다. 정비예정구역은 뉴타운 사업과는 별개로 앞으로 정비사업(주거환경개선, 재개발, 재건축)을 계획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사전에 지정·고시한 지역으로, 정비사업을 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비계획을 수립하는 정비구역과는 다르다.
서울시는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정비예정구역 해제를 신청한 32곳 중 강북구 미아4동 75-9 번지 등 14개 자치구의 31곳 41.3㏊를 해제했다고 31일 밝혔다.
동대문구가 정비예정구역 해제를 신청했으나 주민 사이에 찬반 의견이 엇갈리는 제기동 67번지 일대(제기7구역)는 이번 해제 대상에서 빠졌다. 9만8000㎡ 규모로 해제신청 대상지 중 가장 면적이 넓은 제기동 67번지 일대는 찬반 주민 의견이 팽팽하게 대립해, 해제할 경우 주민 갈등 격화가 우려돼 이번 해제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시는 설명했다. 해제 대상 31곳은 9월1일치 서울시보에 실리며, 서울시보는 서울시 누리집 시정소식에서 볼 수 있다.
해제된 정비예정구역은 마포·영등포구 각 5곳, 성북구 4곳, 용산구 3곳, 구로·동작·성동·금천구 각 2곳, 강북·양천·서대문·은평·광진·동대문구 각 1곳이다. 사업시행방식으로 보면, 주택재개발 3곳(5.5㏊), 주거환경개선 15곳(13.4㏊), 단독주택재건축 10곳(16.9㏊), 공동주택재건축 3개곳(5.5㏊) 등이다.
임계호 서울시 주거재생기획관은 “해제 지역 중 주민이 원하고 기반시설이 비교적 양호한 곳은 휴먼타운 후보지로 우선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개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정비예정구역을 지정했으나 부동산값 급등과 부동산 투기가 뒤따르는 데다, 사업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건축물 증·개축이 금지되는 등 주민 불만이 많았다.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