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 “지방대 황폐화 우려”…보직교수들 사퇴
재정지원 제한 4곳도 총장 사의표명 등 대책 부심
재정지원 제한 4곳도 총장 사의표명 등 대책 부심
‘구조개혁 중점 대학’, ‘재정지원 제한 대학’ 등으로 꼽힌 충북권 대학들이 때 이른 겨울을 만났다.
교육과학기술부의 ‘구조개혁 중점 추진 국립대학’에 오른 충북대는 26일 오후 대학본부에서 긴급 학장 협의회를 열어 “구조개혁 중점 추진 국립대학으로 지정되는 비극적인 사태에 책임감과 비통함을 느낀다”고 밝혔다. 학장 협의회는 “교과부가 행·재정적 수단을 통한 압박·개입의 정책을 버리고 대학의 자율적 발전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앞서 이 대학 보직교수들은 지난 23일 보직 사퇴 성명을 내어 “일방적인 기준으로 지방대학을 황폐화시키는 교과부 발표에 유감과 우려를 표한다”며 “위기를 재도약의 기회로 바꾸고, 대학 위상을 높이는 데 구성원 모두의 힘과 지혜를 모으겠다”고 밝혔다.
지난 5일 재정지원 제한 대학으로 선정된 충북지역 대학 4곳도 침울하다. 청주 서원대는 유혜자 총장 직무대행 등 보직 교수들이 25일 이사회에 사퇴서를 제출했으며, 주성대도 정상길 총장이 지난 20일 사의를 표명했다. 극동대, 영동대 등은 정원 감축 등을 담은 구조 개혁 방안을 내놓았다.
정부의 대학 개혁 대상에서 비껴간 충북권 대학들도 시련의 나날을 보내고 있다. 청주대와 충청대는 지난달 감사원과 교과부의 고강도 감사를 받았으며, 구조조정 대상 대학 도마에 올랐던 한국교원대는 총장 공모제 도입을 결정했다. 청주교육대도 개혁 방안 모색에 들어갔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