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연료 누락 위증 논란에
지사 재직 6년간 463.5시간
“도정 챙기겠나” 지적까지
지사 재직 6년간 463.5시간
“도정 챙기겠나” 지적까지
한나라당의 대선 주자로 거론되는 김문수 경기지사가 국정감사장에서 충남도청 특강 강연료를 받고도 이를 부인했다가 위증 논란에 휩싸였다.
2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민주당 장세환 의원은 “지난 4월11일 충남도청에서 김 지사가 300여명의 공무원들을 상대로 강의하고 세금을 뺀 97만3600원의 강연료를 받은 적이 있다”며 “그런데 ‘특강 및 강연료 현황 자료’에서 누락돼 있다”고 추궁했다.
김 지사는 답변에서 “(충남지사와는) 교환 특강이라 (강사료를) 받지 않았다. 저는 돈에 관한 한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다”고 반박했다. 경기도도 해명자료를 내어 “95차례를 빼고는 214차례 강연회 강의료는 안 받았다”며 ‘사실 무근’ 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장 의원은 “김 지사는 2006년부터 올해까지 모두 309차례에 걸쳐 463.5시간의 특강을 했는데 도정을 제대로 챙기겠냐”고 지적했다. 또 “이 가운데 강연료 수령이 확인된 것은 95차례고, 강의료는 7308만원”이라며 ‘상공회의소 등 여러 곳에서 관행적으로 강연료를 지급했다’는 주장을 들어 강연료 누락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장 의원이 ‘충남도의 강의료 입금명세서’ 등을 제시하면서 “김 지사를 위증 및 허위자료 제출로 고발하겠다”고 압박하자, 경기도는 뒤늦게 “충남도에서 강의료를 받은 것이 사실”이라고 시인했다. 또 “이밖에 3건의 강연료 누락이 확인했고 추가 누락 여부를 확인중”이라고 해명했다.
김 지사의 특강 발언 내용도 도마에 올랐다. 이윤석 민주당 의원은 “김 지사가 특강에서 전직 대통령들을 두고 ‘총 맞았거나, 바위에서 떨어졌다거나, 현 대통령도 징조가 안 좋다’는 식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1100만 지도자로서는 품격 떨어지는 발언이 아니냐”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부족한 점을 고쳐나가겠다. 신중하게, 품위있게 말하겠다”고 물러섰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