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대 일지
사분위, 오늘 정상화방안 심의
교수회·임시이사회 등
“학내 자구노력 물거품 위기”
교수회·임시이사회 등
“학내 자구노력 물거품 위기”
상지대 등 회계부정 같은 비리로 말썽을 빚은 대학들에 옛 재단 쪽 인사들이 속속 복귀하고 있는 가운데, 교육과학기술부가 임시이사 체제이던 경기대의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기로 하자 교수회 등이 옛 재단의 복귀 저지에 나섰다.
12일 경기대 등의 말을 종합하면, 교과부는 13일 사학분쟁조정위원회(사분위) 소위원회를 열어 경기대 정상화 방안 심의를 벌인다. 이는 지난 8월 임시이사들의 임기가 끝남에 따라 교과부가 지난달 8일 사분위에 경기대 정상화 추진안을 상정하고 이를 소위원회에 배정한 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교수회 등은 “구재단으로 복귀하는 경기대 정상화는 안된다”며 사분위가 열리는 13일 서울 광화문에서 반대 집회를 열어 학내 비상대책기구를 구성하기로 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앞서 지난 8월 임시이사회도 교과부에 낸 ‘학교법인 경기학원 정상화추진실적 보고서’에서 이사회 다수 의견으로 구재단 복귀를 전제로한 법인 정상화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사회는 “구재단이 복귀하면 교비 낭비 및 남용의 소지가 많고 구재단에 대한 불신이 높은데다 대다수 학내 구성원이 구재단 복귀를 통한 정상화에 반대해 대학이 다시 분규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교수 440명이 참여한 교수회도 성명을 내 “대학을 비리의 구렁텅이로 떨어트리고, 재원조달은 물론 대학발전계획도 없는 구재단 복귀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기언 경기대 교수회장(행정학과)은 “ 옛 재단은 학생들 돈을 개인 돈 쓰듯한 교육 부적격자이고 범죄자”라며 “이미 학교에 기증한 재산의 대부분을 빼가고도 주인 행세를 하며 대학을 망가뜨린 장본인들의 복귀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런 반발은 지난 7년간의 임시이사체제에서 학교 구성원들이 뼈를 깎는 자구노력으로 정상화시킨 대학 운영을 다시 비리재단에 맡기는 데 따른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경기대는 임시이사체제 이전인 지난 2004년 5억5천여만원이던 연구비가 올해 3배 이상인 18억원으로 늘었다. 학생들의 장학금도 2004년 71억으로 장학금 지급률이 8.85%였으나, 올해는 186억원에 장학금 지급률이 배에 가까운 17.9%로 늘어났다. 반면 총장 업무추진비는 2000~2004년 연평균 3억여원에 가까웠으나, 임시이사체제 기간인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7700만원에 불과할 만큼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벌여왔다.
앞서 2004년 4월 교과부는 교수 임용 부정 등의 혐의로 손종국 당시 경기대 총장이 구속되자 종합감사를 벌여 49억여원의 교비 횡령 등을 확인하고 임원승인 취소와 함께 임시이사를 파견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