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시설 몰려 있는데 지원은 거의 없어…
지역대표들, 시의회 호소
“분뇨 처리비의 10% 보상
조례 제정과 자금 지원을”
지역대표들, 시의회 호소
“분뇨 처리비의 10% 보상
조례 제정과 자금 지원을”
“가장 못사는 지역에 혐오시설이 몰려 있지만 아무런 보상도 없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대구에서 가장 낙후된 서구 주민대표 10여명이 2일 오전 10시 대구시의회를 찾았다. 이들은 “하수처리장과 위생처리장, 열병합발전소 등 혐오시설이 무더기로 몰려 있지만 오랜 세월 동안 침묵해 왔다”며 “더 이상 참을 수 없어 쓰레기와 분뇨 처리 비용의 10%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대구시의회에서 조례를 제정해 달라”고 요청했다.
주민대표 임환웅(52·전 주민자치위원장)씨는 “서구에 혐오시설이 집중돼 있지만 정작 이곳에 사는 주민들은 집값이 떨어지고, 지하철 노선이 없어 교통이 불편하며, 제대로 된 학군도 없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살고 있다”고 말했다. 임씨는 “가장 못사는 지역에 어떻게 해서 임대아파트가 한채도 없는지 알 수 없다”며 “김범일 대구시장이 선거 때 약속한 대로 서구의 초·중·고 31개교 학생 2만7천여명에게 무상급식을 실시하라”고 덧붙였다.
서구에는 북부하수처리장과 달서천하수처리장이 건설돼 있으며, 하루 1200여㎘의 분뇨를 처리하는 달서천위생처리장과 열병합발전소가 가동되고 있다. 여기에다 하루 300여t을 처리하는 음식물폐수처리장이 내년 8월 완공된다. 이 가운데 분뇨를 처리하는 달서천위생처리장의 피해가 가장 심각하다.
위생처리장 인근 ‘가르뱅이’마을에 사는 유상열(67)씨는 “34년 동안 악취에 시달린 주민들이 앞을 다퉈가며 마을을 떠나고 있다”며 “분뇨처리장도 모자라 이제 대구시가 음식물폐수처리장까지 짓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대구시와 대구시의회는 “서구 주민들이 요구하는 처리비용의 10% 지원과 조례 제정은 상위법에 근거가 없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시는 또 “혐오시설이 서구에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달서구와 북구, 수성구, 달성군 등 다른 지역에도 혐오시설이 가동되고 있다”며 “달서천위생처리장과 음식물폐수처리장은 악취를 줄이기 위해 하나로 통합해 지하에 건설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시의회 건설환경위원장 양명모 의원도 “서구 주민들의 처지는 충분히 이해되지만 자금 지원과 조례를 제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밝혔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