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통상사무소, 칭다오 이전 3년만에 ‘원위치’ 검토
일본사무소는 3년만에 폐쇄…도의회 “예산낭비” 비판
일본사무소는 3년만에 폐쇄…도의회 “예산낭비” 비판
전북도는 중국 교역창구로 2003년 4월17일, 상하이에 통상사무소를 개설했다. 그러나 5년 만인 2008년 7월1일, 산둥성 칭다오로 사무소를 이전했다. 명분은 칭다오에 전북 연고 기업이 135곳이나 진출해 있고, 교민 수가 많다는 것이었다. 3년이 지난 지금 전북도는 다시 상하이로 이전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중국 사무소에는 현재 3급, 5급, 6급이 한 명씩 모두 3명이 근무하고 있다.
또 전북도는 2008년 3월, 일본 도쿄에도 사무소를 개설했다. 하지만 가시적 성과가 없고, 고위직 인사적체 해소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이유로 3년 만인 지난 1월 아예 폐쇄했다.
전북도의회는 오락가락하는 전북도의 국외통상 정책을 도마 위에 올렸다.
전북도의회 산업경제위원회는 지난 15일 전북도 행정사무감사에서 “전북도가 상하이에서 칭다오로 옮긴 중국 사무소를 다시 상하이로 이전하려는 것은 행정력과 예산낭비”라며 “전북도가 국외사무소 운영에 중심을 잡지 못하고 상황에 따라 오락가락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산경위는 “투자유치를 위해 운영한 일본 도쿄 사무소를 올해 초 폐쇄한 것은 근시안적인 행정의 표본”이라며 “일본의 기업들이 올해 3월 대지진 이후, 전기료가 싼데다 엔화 강세 현상이 가속함에 따라 한국으로 생산시설을 옮기는 추세인데, 일본 사무소를 폐쇄한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따졌다.
전북도가 중국 통상사무소를 2008년 상하이에서 칭다오로 옮길 당시 재중국 전북인회는 이전을 반대하는 호소문을 발표했으나 이전은 강행됐다. 전북도는 칭다오에 나가 있는 전북 연고 기업들이 많이 빠져나가는 등 경제상황이 바뀌어 상하이 이전을 검토중이라고 설명했다.
전북도는 사무소를 상하이로 옮긴 뒤 현지 전문가를 채용해 투자유치 지원과 중국 관광객·유학생 유치 등에 나설 계획이다. 여태껏 기업인의 통상을 지원하는 데 주력했다면, 앞으로는 새만금시대를 맞아 중국을 끌어들이는 데는 경제 중심지인 상하이가 적당하다는 판단이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안철수 1500억 사회환원 소식에 “국격 높여준 반띵”
■ 김진숙 “이제는 희망버스 핸들을 쌍용차에게로 돌려야 한다”
■ 여우 야생에 풀면서 웬 이름짓기?
■ ‘많이 아파요? 바보 ♬’…JYJ 광고 화제
■ “집전화 선 끊어라” KT 지사 녹취파일 입수
<한겨레 인기기사> ■ 안철수 1500억 사회환원 소식에 “국격 높여준 반띵”
■ 김진숙 “이제는 희망버스 핸들을 쌍용차에게로 돌려야 한다”
■ 여우 야생에 풀면서 웬 이름짓기?
■ ‘많이 아파요? 바보 ♬’…JYJ 광고 화제
■ “집전화 선 끊어라” KT 지사 녹취파일 입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