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재정투명성 먼저”
전북도가 올해 안에 지역별 시내버스 요금 인상률을 결정한다.
전북도는 민생일자리본부장이 위원장인 물가대책실무위원회와 행정부지사가 위원장인 소비자정책심의위원회를 곧 열어 시내버스 요금 인상률을 결정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최근 전주지역 시내버스 노사합의로 운행이 정상화됐기 때문에, 더는 요금인상안 결정을 늦출 수 없다는 게 전북도의 견해다.
전북도는 “전국 대부분의 시·도에서 지난해와 올해 시내버스 요금을 올렸지만, 전북에서는 2007년 3월 인상한 뒤 4년 넘도록 동결했다”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넘지 않고, 비슷한 규모의 시·군보다 높지 않도록 인상률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제주와 전북만 버스요금을 인상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시민단체는 업계의 재정투명성 확보가 우선이라며 요금 인상에 반대하고 있다. 이창엽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시민감시국장은 “최근 불거진 버스회사의 회계투명성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고 노사갈등의 불씨도 남아 있다”며 “요금 인상이 불가피해도 현금수입 내역을 밝히는 것을 비롯해 업계의 재정투명성 확보 방안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황철호 도 대중교통 담당은 “전주시가 내년부터 현금인식기 도입을 유도하는 등 각 시·군이 투명성 확보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