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성적 선발로 서울지역 진학생에 혜택 편중
학교 명시 지급도…시민단체 “가정형편 고려해야”
학교 명시 지급도…시민단체 “가정형편 고려해야”
충북도와 충북지역 시·군이 저마다 장학기금, 장학재단을 운영하고 있으나 지원 대상이 대부분 성적 우수 학생이어서 장학금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빚고 있다.
충북지역에는 충북도 등이 출연한 충북인재양성재단, 충주시장학회, 제천시인재육성재단, 보은·옥천·영동·괴산·증평·진천·음성·단양장학회 등이 꾸려져 있다.
2008년 2월 충북도가 50억원을 출연해 세운 충북인재양성재단은 3년 만에 보유재산 357억7400만원(지난 5월 기준) 규모의 장학재단으로 성장했다. 충북지역에서 가장 빠른 1990년 4월 설립된 충주시장학회는 지난 5월 기준으로 102억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자치단체들이 30억원 이상의 재산을 적립하고 있다. 도와 일선 시·군들이 해마다 50억~3억원씩 출연하는 등 재단 성장에 공을 들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학재단과 장학회가 수혜자를 성적만으로 선정해 서울 유학생들의 전유물이 되고 있다. 충북인재양성재단은 지난해까지 성적 우수 대학생과 고교생을 선발해 장학금을 지급했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가 분석한 이 재단의 장학금 지급 현황을 보면, 지난해 하반기 대학생 장학금 수혜 학생 150명 가운데 135명(90%)이 서울 등 지역 밖 대학 재학생이었다. 이 가운데 80명은 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 이른바 ‘명문대’ 재학생이었다. 충북인재양성재단은 서울권 학생들에게 장학금이 집중되자 올해부터 성적(70%), 소득수준(30%)을 합산하는 기준을 제정했다.
보은, 증평, 음성군 장학회는 카이스트·서울대·포항공대·연세대·고려대 등 아예 대학을 명시해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장선배 도의원은 “경제적 여건이 학업 수준을 좌우하는 경향이 있는 만큼 소득 수준 비율을 50%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자치단체 장학재단의 설립과 운영 실태 또한 허술하기 짝이 없다. 제천시인재육성재단은 재단 임원 마음대로 장학생 11명을 선발했다가 지난 2월 감사원 감사에 적발됐으며, 단양장학회는 2008년과 2009년 관내 중학교 7곳에 3650만원을 전달했으나 이 가운데 730여만원이 교직원 간담회비 등으로 사용돼 말썽을 빚었다.
이선영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국장은 “장학기금을 투명하게 운영하고 수혜 학생은 성적뿐 아니라 가정 형편, 실업·특성화 학교 등을 고루 고려해 선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