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비 부담 없다·식단 다양화 등 이유 꼽아
도의회, 민주-한나라 ‘예산 증액’ 싸고 이견
도의회, 민주-한나라 ‘예산 증액’ 싸고 이견
내년 예산에 무상급식 항목을 신설하고 관련 예산을 증액하자는 경기도의회 민주당 쪽과 이에 반대하는 한나라당의 협상이 결렬된 가운데, 경기도내 초등학생과 학부모, 교사 10명 가운데 8명이 무상급식에 만족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28일 경기도교육청이 지난달 24~28일 도내 350개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 교사 6만2000여명을 상대로 벌인 친환경 무상급식 만족도 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 응답자의 77.2%가 ‘만족한다’ 또는 ‘매우 만족한다’고 대답했다. 학생 78.9%, 학부모 79.1%, 교직원 69.2%가 만족감을 표시했다.
무상급식의 질과 급식 운영에 대해선 전체 응답자의 70.5%와 72.3%가 각각 만족한다고 답했다. 75.5%는 ‘가정 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68.7%는 ‘학생들의 자존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응답자들은 친환경 무상급식 시행 이후 좋아진 점으로 △급식비 부담이 없음(53.8%) △식단 다양화(22%) △건강에 도움(14.5%) △식생활 교육(9.7%)을 꼽았다. 앞으로 개선할 점으로는 △식단 다양화(35.2%) △과일 제공(33.9%) △지역 농산물 사용(18%) △식생활교육(13.1%) 등을 들었다. 또 학부모 75%, 교직원 86%가 ‘친환경 급식이 농민과 농촌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한편 경기도의회의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지난 25일까지 4차례 실무협상에 나서 무상급식 예산안 명칭과 예산 규모를 놓고 협의를 벌였으나 결렬됐다. 김문수 경기지사와 민주당 도의원 21명이 25일 면담했으나 서로 기존 견해를 확인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의회 다수당인 민주당이 자체 예산 수립 강행에 나설 경우, 오세훈 전 서울시장 때와 비슷한 ‘무상급식 예산 파동’이 경기도에서도 재연될 것으로 우려된다.
민주당 쪽은 학교급식 지원 경비 항목에 무상급식 명칭 사용과 함께 사업비 12 60억원을 제안한 상태다. 무상급식 경비 분담 비율을 경기도교육청 50%, 경기도 25%, 시·군 25%로 산정하고, 경기도에 무상급식 지원 예산 932억원, 친환경 농산물 학교급식 지원 예산 168억원, 친환경 등 우수축산물 학교급식 지원 예산 160억원을 편성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쪽은 무상급식 별도 항목 신설은 ‘논의 불가’라며, 친환경 농축산물 사업비를 올해와 같이 400억원 수준에서 지원한다는 태도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