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중 운영권 매각…충북도도 지분인수 검토
활주로 연장·군공항 이전 등 활성화 대책 ‘촉각’
활주로 연장·군공항 이전 등 활성화 대책 ‘촉각’
청주국제공항이 전국 공항 가운데 처음으로 운영권 매각(민영화)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민영화와 별도로 추진될 공항 활성화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충북도는 3일 “청주공항 운영권이 이달 안에 공항 인수 희망 연합체인 청주공항관리㈜에 매각돼 민영화될 것”이라며 “지난해 11월23일 청주공항을 운영하고 있는 한국공항공사가 청주공항관리 쪽과 운영권 매각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2주일 동안 정밀실사를 했으며, 막바지 매각 검토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인수하는 쪽에서 공항 일부 시설의 보수 의견을 내놔 보완하고 있으며, 매각은 300억~350억원에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국토해양부는 2009년 3월 전국 지방공항 14곳 가운데 청주공항을 운영권 매각 대상 공항으로 선정한 뒤 매각을 추진해왔으며, 예정대로 매각이 성사되면 청주공항은 국내에서 유일한 민영공항으로 거듭나게 된다.
청주공항 운영권을 인수하려는 청주공항관리에는 미국·캐나다 합작사인 ADC&HAS, 흥국생명, KACG 등이 참여하고 있으며, 충북도도 5% 안팎의 지분 인수를 검토하고 있어 국내외 자본이 어우러진 민관 합작 형태로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가 정부의 민영화 추진에 맞서 ‘선활성화 후민영화’를 내세웠던 터라 민영화와 별도로 공항 활성화도 관심을 끌고 있다.
일단 국토부도 충북도의 주장에 공감하는 분위기다. 국토부는 지난달 청주공항 활주로 타당성 조사에서 나온 활주로 연장(2743m에서 3200~3600m)안을 기획재정부로 넘겼으며, 인천공항의 초대형 화물 항공기 대체공항 수요 검토도 벌이고 있다. 활주로가 늘어나면 지난 9월 취항한 중국 상하이 경유 미국행 화물 수요뿐 아니라 국제 여객 노선도 크게 늘릴 수 있다.
도는 충북 북부권, 수도권, 강원권의 여객·화물 수요를 유인할 공항 북쪽 진입도로 건설 관련 예산(72억5천만원)과 오송~공항 연결도로 예산(16억원) 등을 확보했으며, 천안~청주공항 수도권전철 연결 등 주변 교통여건 확충에 힘쓰고 있다.
이와 함께 김동철·김진표(민주통합당), 유승민(한나라당) 의원 등 여야 의원이 지난달 26일 공동 대표발의한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안’도 관심이다. 이 법안은 청주·수원·광주·대구 등 도시와 가까운 곳에 설치된 군공항의 소음으로 주민 불편이 있어 이전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충북도 공항지원팀 김유택씨는 “청주공항 옆에 붙어 있는 군공항을 다른 곳으로 옮기면 청주공항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도 “법이 통과돼도 대체 부지를 찾는 문제 등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