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후보간 경선방식 이견
중앙당 대표단에 결정 위임
중앙당 대표단에 결정 위임
제19대 총선을 앞두고 진보정당 강세지역의 하나로 꼽히는 울산 동구에서 통합진보당 예비후보들이 경선 방식을 정하지 못해 후보 조정에 난항을 겪고 있다. 울산 동구는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의 영향력이 큰 지역이면서도 지난해 4월 재보궐선거에서는 네번째 ‘진보구청장’을 배출해 낸 진보정당 강세지역이어서 선거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곳에 지난해 12월28일 사퇴한 이은주 전 울산시의원과 노옥희 전 울산시교육위원이 통합진보당의 예비후보로 등록해 경합에 나섰으나 경선 방식을 둘러싸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당내 후보 선출을 위한 선거 공고일이 하루 지난 17일까지 이 후보의 당원 투표와 여론조사 병합 방식과 노 후보의 100% 여론조사 방식이 팽팽히 맞서 해결점을 찾지 못했다.
이 후보는 “지난 연말 중앙당 2차 전국운영위원회에서 당내 경선이 불가피하면 당원 투표 50%와 유권자 여론조사 50%로 후보를 선출하기로 한 바 있다”며 “당원 투표 반영을 30%까지 양보해도 노 후보가 당원 의사를 전혀 반영하지 없는 여론조사 100%를 고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 후보는 “통합진보당은 많은 우여곡절 끝에 3세력이 통합한 정당이라는 특수상황을 존중해야 한다”며 “3자 통합세력의 규모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당원 투표와 여론조사 혼용 방식보다 두 후보 모두에게 공정한 100% 여론조사 방식을 수용해야 한다”고 맞섰다. 이 후보는 통합 전 민주노동당 소속이었으며, 노 후보는 진보신당 소속이었다.
한편 조승수 현 국회의원과 이경훈 전 전국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장이 통합진보당 후보를 놓고 경합이 붙은 울산 남구갑 선거구는 당원투표 30%, 여론조사 40%, 시민 참여 경선 30% 방식으로 경선을 치르기로 두 후보가 합의했다. 통합진보당 울산시당은 “울산 동구는 예비후보들의 논의와 중앙당 후보 조정위원회를 통해서도 경선 방식 등에 관한 결론을 내지 못해 중앙당 공동대표단에 위임한 상태”라며 “예비후보들이 절충을 통해 슬기롭게 해결점을 찾을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