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민행동, 전남도청 앞 회견
"지리산 건설계획 포기하라"
전남도의회선 ’설치촉구 결의안’
"지리산 건설계획 포기하라"
전남도의회선 ’설치촉구 결의안’
‘국립공원 케이블카 반대 광주전남 시도민행동’(이하 시도민행동)은 21일 전남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립공원과 백두대간의 생태경관을 파괴하고, 지리산 주변 공동체를 분열시키는 케이블카 건설계획을 즉각 포기하라”고 촉구했다.
시도민행동은 성명을 통해 “국립공원 케이블카가 생태환경적 측면만이 아니라 지역사회를 위해서도 불필요한 시설임은 설악산, 내장산, 덕유산의 사례에서 충분히 알 수 있다”며 “이를 강행하는 것은 케이블카가 지역을 살릴 것이라는 환상, 자치단체와 지역 토건 세력의 ‘묻지마 개발’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전남도에는 지원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광주전남 생명의숲 김경일 사무처장은 “광역자치단체가 할 일은 케이블카가 설치되도록 노력하는 게 아니라 국립공원이 우리 지역에 있음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보전을 위해 적극 나서는 일”이라고 말했다.
환경단체들은 이날 전북도청과 경남도청에서도 같은 내용으로 기자회견과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하지만 자치단체와 지방의회에서는 찬성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남도의회 의원 22명은 최근 ‘월출산 국립공원내 케이블카 설치 촉구 결의안’을 통해 “관광소득 증대와 노약자와 장애인 등이 쉽게 찾을 수 있고 관광 명소로 사랑받을 수 있도록 케이블카를 설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1988년 월출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경제 활성화는 온데간데 없고 각종 규제로 재산권 손실만 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구례군도“설치 희망지역 중 구례가 가장 먼저 유치전에 뛰어 들었고, 여건상으로도 최적지”라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케이블카 설치가 꼭 필요하다”는 태도다. 구례군은 1990년 지리산 온천관광지 조성계획이 수립됐을 당시 교통부의 승인까지 받았다고 강조했다.
구례의 지리산 케이블카는 산동 온천지구~노고단 중계소 하단 4.3㎞ 구간에 3년 동안 320억원, 영암의 월출산 케이블카는 읍내 기체육공원~천왕봉 인근 지봉 2.0㎞ 구간에 6년 동안 300억원을 각각 들여 추진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지리산(구례·남원·함양·산청), 월출산(영암), 설악산(양양), 한려해상(사천) 등 4개 국립공원 관할 7개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국립공원 케이블카 시범사업 선정 절차에 착수했다. 환경부는 최근 민간전문위원회 회의와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거쳐 강화된 설치 기준안을 마련했고, 정밀 현지조사와 전문위 검토를 거쳐 6월쯤 시범사업 지역을 선정할 방침이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한-미FTA ‘3월15일 0시’ 발효
■ 집 인터넷 접속방법 많은데 1회선당 1개만 하라고?
■ “돈봉투 배달시켰는데 택배기사를 구속 기소”
■ 유언 맥그레거 ‘남자 마음’ 잡을까
■ 담뱃값 올리더니…필립모리스 울상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지리산(구례·남원·함양·산청), 월출산(영암), 설악산(양양), 한려해상(사천) 등 4개 국립공원 관할 7개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국립공원 케이블카 시범사업 선정 절차에 착수했다. 환경부는 최근 민간전문위원회 회의와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거쳐 강화된 설치 기준안을 마련했고, 정밀 현지조사와 전문위 검토를 거쳐 6월쯤 시범사업 지역을 선정할 방침이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한-미FTA ‘3월15일 0시’ 발효
■ 집 인터넷 접속방법 많은데 1회선당 1개만 하라고?
■ “돈봉투 배달시켰는데 택배기사를 구속 기소”
■ 유언 맥그레거 ‘남자 마음’ 잡을까
■ 담뱃값 올리더니…필립모리스 울상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