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심의위원에 돈 준 혐의 금호산업 1명 긴급체포
시, 비리 연루 공무원 3명 직위해제…공사는 계속키로
시, 비리 연루 공무원 3명 직위해제…공사는 계속키로
광주시 하수처리장의 총인처리시설공사 입찰비리 수사가 시공사로 선정된 대림산업뿐 아니라 입찰에서 탈락한 금호산업의 로비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입찰에 영향을 준 뇌물 정황이 속속 드러나자, 시민단체는 광주시장의 사과와 공사 중단을 요구했다.
광주지검 특수부는 23일 시공업체 선정을 위한 입찰을 앞두고 심의위원들에게 금품을 건넨 혐의로 금호산업 직원 ㅊ씨를 긴급체포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ㅊ씨는 지난해 초 총인시설 시공사 선정을 앞두고 심의위원들에게 잘 봐달라는 청탁과 함께 뇌물을 건넨 혐의를 받고 있다. 금호산업 고위 간부도 소환해 심의위원들을 상대로 조직적인 로비를 했는지 추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검찰은 대림산업 상무와 광주시 공무원 2명, 대학교수 1명 등 4명을 뇌물 공여·수수 등 혐의로 구속했고, 광주시 공무원 등 3명을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해 수사중이다.
검찰 수사로 입찰과정의 로비 정황이 드러나자, 광주지역 시민단체인 참여자치21은 보도자료를 내어 “강운태 광주시장은 뇌물로 얼룩진 총인시설 입찰에 대해 시민에게 사과하고, 건설비용보다 더 많이 들어가는 유지비용의 대책을 세울 때까지 공사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시공중인 총인시설의 한해 유지비는 92억원으로, 40억원을 제시한 업체에 견줘 51억원이 많고, 이를 20년 보증기간의 비용으로 환산하면 세금 1000억원이 낭비된다”며 “예산을 절약할 대책을 세울 때까지 공사를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변원섭 이 단체 운영위원장은 “입찰 참가업체들의 로비가 광범하게 이뤄졌고, 뇌물을 받은 공무원들이 구속되고 있는데도 시장이 사과를 하지 않고 변명만 한다면 민선시장의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를 두고 광주시는 이날 공기가 촉박해 공사를 중단하기 어렵고, 아직 수사중이어서 사과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시는 “총인시설은 5월20일까지 화학적 처리공정을, 10월25일까지 여과·침전장치를 준공해야 하고 이를 어기면 오염총량부과금을 한해 138억원씩 환경부에 내야 한다”며 “공사 중단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병록 행정부시장은 “시공사가 입찰과정에서 뇌물을 제공했다면 공사를 중단할 수 있지만, 확정 판결로 그 사실이 증명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시는 또 검찰이 비위를 수사중인 공무원 명단을 통보해오자 ㅂ·ㅇ·ㅇ 등 서기관급 기술공무원 3명을 직위해제했다.
정대하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