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새누리 정우택 논문 의혹”…정 “흑색선전”
선관위 21건 고발…여야 공천탈락불복 내홍도
선관위 21건 고발…여야 공천탈락불복 내홍도
충북지역이 4·11 총선을 앞두고 이상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대전·충남과 강원도에서도 총선을 앞두고 고소·고발이 잇따르고 있다.
5일 현재 충북 보은·옥천·영동 선거구는 5선 관록의 이용희(81)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한 가운데, 공식선거 운동이 시작되기 전부터 난타전이 계속되고 있다. 특정후보 지지를 부탁하며 이장들에게 20만~40만원이 든 돈봉투를 건넨 영동지역 주민자치위원 윤아무개(61)씨가 구속되는 등 이 선거구에서만 고발 5건, 경고 9건이 집중됐다.
충남 부여에서는 최근 한 예비후보자가 소속된 단체 임원과 가족 등이 주민에게 음식과 책을 제공한 혐의로 고발됐으며, 세종시에서는 한 단체 관계자가 시장 선거와 관련해 주민에게 음식을 제공했다 고발되고, 음식을 먹은 주민들에게 과태료가 부과되기도 했다. 논산에서는 이인제 의원의 보좌관이 지난 설 연휴에 주민들에게 선물을 돌린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다.
충북선관위는 이날까지 총선과 관련한 선거법 위반 사례 가운데 9건을 고발하고, 22건을 경고 조처했다. 충북에서 지난 18대 총선 공식선거운동 전 단속 건수는 고발 10건, 경고 23건, 수사의뢰 2건, 주의 1건 등이었다.
대전과 충남선관위는 이날 현재 64건의 선거법 위반 사례를 적발하고 이 가운데 12건을 고발 및 수사의뢰했다. 이는 지난 18대 총선 당시 같은 기간 3건보다 크게 늘어난 것이다. 강원선관위도 2일 현재 고발 4건, 수사의뢰 1건, 경고 15건 등 모두 20건을 적발했다.
정당간 공방전과 공천을 둘러싼 같은 당 예비후보 간 경쟁도 치열해 과열·혼탁선거를 부채질하고 있다. 민주통합당 충북도당은 이날 새누리당 청주 상당 선거구 정우택 후보의 박사 학위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 정 후보가 1992년 미국 하와이대 대학원에서 받은 경제학 박사 학위 논문을 복수의 교수들을 통해 검증했더니 적어도 70~80군데 정도는 남의 논문을 드래그(복사해서 그대로 옮김)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정 후보 쪽은 “민주당이 20년전 논문까지 들고나오는 끝장 선거의 처참한 모습을 드러냈다”며 “논문은 미국 학계의 엄정한 심사 절차를 거쳐 통과됐으니 유권자들은 흑색선전에 흔들리지 말아 달라”고 밝혔다.
민주통합당이 이상민 의원을 단수 공천한 대전 유성 지역구에서는 지난 3일 예비후보들이 일제히 당헌·당규를 어긴 밀실공천이라고 비난하고 나섰다. 경선 대상에서 탈락한 같은 당 대전지역 예비후보들도 심사 무효와 재심을 요구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자유선진당은 대전 서구갑 공천을 원하던 이강철 후보가 탈락하자 경선을 요구해 내홍을 겪고 있다. 새누리당 역시 앞으로 공천에서 탈락한 후보자들의 반발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충북도 선관위 관계자는 “4·11 총선 공식 선거운동이 오는 29일 시작되는 점을 고려하면 불법·혼탁 사례가 지난 총선 때를 크게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며 “감시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윤주 박수혁 기자 sti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다짜고짜 아슬아슬 성교육, 아들 답이 걸작
■ “속옷 보일까 걱정…” 아시아나 왜 치마만 입나요
■ 30대 이하에게 ‘나꼼수’는 ‘월간조선’이다
■ 방통위원 김태호 PD에 “초등학교 나왔냐”
■ “박지성 선수, 산개구리는 이제 그만”
자유선진당은 대전 서구갑 공천을 원하던 이강철 후보가 탈락하자 경선을 요구해 내홍을 겪고 있다. 새누리당 역시 앞으로 공천에서 탈락한 후보자들의 반발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충북도 선관위 관계자는 “4·11 총선 공식 선거운동이 오는 29일 시작되는 점을 고려하면 불법·혼탁 사례가 지난 총선 때를 크게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며 “감시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윤주 박수혁 기자 sti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다짜고짜 아슬아슬 성교육, 아들 답이 걸작
■ “속옷 보일까 걱정…” 아시아나 왜 치마만 입나요
■ 30대 이하에게 ‘나꼼수’는 ‘월간조선’이다
■ 방통위원 김태호 PD에 “초등학교 나왔냐”
■ “박지성 선수, 산개구리는 이제 그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