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난 완화대책…공원·학교 등 지하공간 늘리기로
서울시가 주차난 해소를 위해 학교과 공원 등의 지하공간을 활용하고 도시형 생활주택의 주차장 면적 기준을 강화하는 등의 주차난 완화대책을 마련했다고 17일 밝혔다. 아파트를 제외한 다가구·다세대 주택 밀집지역의 주차장 수급율이 60% 이하에 머무르는 등 서울의 주차환경이 열악하고, 불법 주정차도 심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시는 주차난이 심한 이유로 자동차를 2대 이상 보유한 가구가 지난 5년 동안 22.7%가 늘고, 도시형 생활주택이 급증한 반면 주차장 규모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파악했다.
이에 따라 시는 도로와 공원, 학교 등 공공시설의 지하공간을 활용해 주차장을 확대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오는 2014년까지 총 28곳에 주차시설 4336면을 새로 공급한다. 또 주간에 시설 이용자가 쓰지만 밤에는 쓰지 않는 근린시설과 공공시설의 주차장을 시민에게 개방해 주차장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30세대 미만인 도시형 생활주택의 주차기준을 전용면적 60㎡당 1대에서 최고 30㎡당 1대까지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또 주차장 확보율 60% 미만인 256개 지역을 주차환경개선지구로 지정해 공동주차장을 건설하고 담장을 허물어 주차공간을 확충하는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차량 소유주의 차고지 확보를 의무화하는 차고지 증명제나 자동차 공동 이용제 등을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이번 주차난 완화대책을 통해 오는 2014년까지 약 1만7191면의 주차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