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물류단지 ‘파이시티’ 조성 사업 예정지인 서울 서초구 양재동 옛 화물터미널 터가 3일 텅빈 채 황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물동량 급증 미리 예상
터미널 기능 무시한 채
교통평가 심의 통과시켜
터미널 기능 무시한 채
교통평가 심의 통과시켜
서울시가 2007년 복합유통센터(파이시티) 개발 사업이 추진되던 서초구 양재동 화물터미널의 물동량을 10년 사이 37배나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 연구용역 보고서를 받고도, 화물차량 주차면적을 기존보다 3분의 1로 줄이겠다는 ㈜파이시티의 주차계획을 통과시켜준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터미널 연면적보다 3배 넘는 오피스텔 등 업무시설을 허용해 ‘특혜 논란’을 일으켰던 서울시가, 정작 화물터미널 기능을 유지하고 확충하는 것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서울시가 2007년 5월 제출받은 ‘서울시 화물터미널 재정비 방안 연구’ 보고서를 보면, 2016년 양재동 화물터미널의 1일 물동량(1t화물차 기준)은 2006년 7월 조사 결과에 견줘볼 때 37배나 불어난 5만7400대~8만8831대로 나와 있다.
연구용역을 맡은 한양대 쪽이 검토한 시나리오들 중에는 2016년 양재동 화물터미널의 물동량이 2006년보다 41~63배나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 결과도 들어 있다.
이 보고서는 양재동 화물터미널 물동량이 급증한 이유로, 전국에서 서울로 보낸 화물이 마지막으로 도착하는 ‘화물취급장’ 기능에서 ‘집배송센터’ 위주로 바뀌게 될 경우 화물 보관 기간이나 물동량 산출기준이 달라질 것이라는 점 등을 꼽았다. 집배송센터란 택배업체 등에서 그날이나 전날 발생한 화물의 지역내 배송을 위해 화물을 집하, 분리, 배송하는 장소를 말한다.
이처럼 서울시가 발주한 연구용역 보고서도 양재동 화물터미널의 화물 물동량이 줄어들기는커녕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는데도, 서울시는 복합유통센터 개발을 인허가하는 과정에서 화물터미널 기능은 크게 축소시켰다. 개발 사업자인 ㈜파이시티가 건축 허가를 받으려고 서울시에 낸 주차계획을 보면, 대형 화물차량 주차장 규모는 2005년 607대에서 개발 이후엔 205대로 크게 줄게 돼 있다.(<한겨레> 5월3일치 1면)
서울시는 이명박 시장 재임 때인 2006년 5월 터미널보다 큰 백화점 등 판매시설 입점을 승인했고, 오세훈 시장이 재임하던 2008년 8월 터미널 연면적의 3.7배인 35층 업무시설·교육연구시설 3개동 건설을 허용했다. 이어 2009년 2월 주차면적을 기존보다 3분의 1로 줄이는 주차계획도 교통영향평가 심의에서 통과시켰다.
이런 행정행위들은 서울시가 2005년 9월 확정한 ‘서울시 도시물류기본계획’의 원칙과 배치되는 것이다. 이명박 시장 때인 2005년 9월 서울시가 확정한 도시물류기본계획은 ‘화물터미널의 기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업시설의 개발을 허용하는 것을 검토한다’고 돼 있다.
한양대 연구진의 2007년 화물터미널 재정비 용역 보고서도 양재화물터미널 기능 개선 방향으로 화물운송업체를 위한 집배송센터 중심의 물류시설을 꼽으며 ‘화물터미널의 해당 역할과 기능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류(商流)시설(판매시설 등)의 허용을 검토할 것’을 제시했다. 또 ‘복합개발 땐 물류시설을 상류시설과는 공간적으로 분리해 개발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 보고서는 화물물동량의 수송행태 변화와 품목별 규모 변화를 고려하면, 양재동 화물터미널의 기능을 5년마다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경기동부연합 ‘숨은 실세’ 이석기는 누구?
■ 정규직 ‘희망고문’에 성희롱도 참아야만 했다
■ 왁스칠에…디도스특검 ‘두번째 수모’
■ ‘1000만원 든 지갑’ 주인 찾아준 집배원
■ 여당 대선주자-박근혜 측근 설전 격화… ‘감정싸움’ 양상
■ 경기동부연합 ‘숨은 실세’ 이석기는 누구?
■ 정규직 ‘희망고문’에 성희롱도 참아야만 했다
■ 왁스칠에…디도스특검 ‘두번째 수모’
■ ‘1000만원 든 지갑’ 주인 찾아준 집배원
■ 여당 대선주자-박근혜 측근 설전 격화… ‘감정싸움’ 양상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