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인상요구 5%로 낮췄지만
시 “공기업 수준 3.5%로” 맞서
시 “공기업 수준 3.5%로” 맞서
서울 시내버스 노사는 17일 핵심 쟁점인 임금인상률을 놓고 막판 절충을 시도하며 밤늦게까지 물밑 협상을 계속했다.
이날 저녁 8시께 김상범 서울시 행정1부시장이 용산구 동자동 버스노조회관으로 시내버스노조를 방문해 “시민 불편이 심하니 파업을 자제해달라”고 했으나, 노조 쪽은 “시와 사용자 쪽이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으면 파업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맞섰다.
애초 임금 9.5% 인상을 주장했던 노조 쪽은 이날 5%까진 양보할 수 있다고 물러났다. 그러나 서울시 쪽은 임금인상률 4.5%를 제시했다. 시 관계자는 “현재로는 임금인상률 4.5%가 최대치이고 노조가 받느냐 안 받느냐만 남았다”며 “재정 적자, 시민 부담 등을 고려할 때 그 이상은 감당하기 어렵다고 본다”고 말했다. 노조 쪽은 “임금인상률 마지노선이 5%대이므로, 파업을 예고한 18일 새벽 4시까지 획기적인 태도 변화가 없으면 파업에 돌입한다”고 압박했다.
앞서 노조는 이날 오후 서울역에서 파업 출정식을 연 뒤 버스노조회관에서 지부장 총회를 열고 전면파업을 결의했다. 지난 14일 찬성률 91.4%로 결의한 파업 의지를 재확인했다. 파업에 들어가면 서울 시내버스회사 69곳 가운데 62곳의 버스가 운행을 중단할 것으로 노조 쪽은 예상했다.
서울시는 오전 박원순 시장이 주재한 간부회의에서 총액 기준 인상률 4.5%(임금 3.5% 인상, 무사고 운행수당 3만원 인상)를 사용자 쪽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을 통해 노조에 제시했지만, 노조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류근중 노조 위원장은 “무성의한 태도로 일관한 서울시가 이번 파업을 사실상 부추겼다”고 말했다.
앞서 노사 양쪽은 지난 16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중재로 이튿날 새벽까지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실패했다.
서울시는 오후 김상범 부시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대책본부를 꾸려 노조 파업 때 대책 마련에 나섰다. 파업이 벌어지면 지하철 막차 시간을 연장하고, 차량 간격을 최소로 하는 출퇴근시간대를 늘리기로 했다. 마을버스는 3만2234회 운행하던 것을 첫차와 막차 시간을 앞뒤로 1시간씩 늘려 2773회 더 운행하기로 했다. 버스정류소와 주요 지하철역을 잇는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경기도와 인천을 오가는 버스 노선에 예비차량 245대를 투입하기로 했다. 개인택시 의무휴무제와 승용차 요일제도 한시적으로 해제한다.
박기용 임인택 기자 xen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이명박 대통령 5·18 기념사까지 생략…정부 홀대 논란
■ “포스텍 500억 날린 투자, 이상득 의원 개입했다”
■ 한완상 전 부총리 ‘문재인 포럼’ 이사장 맡는다
■ 서울 시내버스 극적 타결…정상 운행
■ “술 한잔 하자더니 3차까지…한국 사람 신기해요”
■ 이명박 대통령 5·18 기념사까지 생략…정부 홀대 논란
■ “포스텍 500억 날린 투자, 이상득 의원 개입했다”
■ 한완상 전 부총리 ‘문재인 포럼’ 이사장 맡는다
■ 서울 시내버스 극적 타결…정상 운행
■ “술 한잔 하자더니 3차까지…한국 사람 신기해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