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등 유휴 종교시설 적극 활용
서울시가 앞으로 새로 짓는 아파트에 마련되는 의무 보육시설을 국공립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어린이집을 늘려가기로 했다. 교회 등 유휴 종교시설을 활용하는 예산절감 방안도 적극 활용한다.
시는 올 하반기 43개소를 시작으로 내년까지 서울시내에 최소 95개소의 국공립어린이집을 새로 연다고 25일 밝혔다. 5911명의 영유아 대기자 수요를 해소할 만한 규모다.
전체 95개소 중 40% 가량인 36개소는 교회 등 종교시설과 기업이 자발적으로 공간을 제공하는 사회적 연대 방식으로 조성된다. 32개는 공공기관이나 공동주택의 공간을 임대해 설치하며, 16개소는 부지를 매입해 신축하고, 11개소는 민간어린이집을 매입했다. 구별로는 성동구가 가장 많은 9개소를, 서대문·동대문·구로·은평구도 7~8개소의 국공립어린이집을 내년까지 확충한다. 특히 성동구는 신축 아파트 단지에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어린이집에 대해 주민 의견을 물어 국공립화하는 방식을 썼다. 새로 땅을 매입해 신축하는 경우 10~20억원의 비용이 들지만 이 방식은 매입·신축에 견줘 10분의 1 정도밖에 들지 않는다. 시는 앞으로 해당 아파트 주민들에게 우선입소권 50%를 보장하는 등의 제도개선을 통해 국공립어린이집을 확충해가겠다고 밝혔다. 박기용 기자xen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내 5.16발언, 찬성 50%넘어”…누리꾼 ‘멘붕적 역사관’
■ 모두 하고 있습니까……피임
■ 민카 켈리, 사생활 비디오 유출 전세계 경악
■ “그네누나보다는 촬스형아 치하에서 살고 싶다”
■ [화보] 2012 강릉경포해변 비치발리볼 대회
■ 박근혜 “내 5.16발언, 찬성 50%넘어”…누리꾼 ‘멘붕적 역사관’
■ 모두 하고 있습니까……피임
■ 민카 켈리, 사생활 비디오 유출 전세계 경악
■ “그네누나보다는 촬스형아 치하에서 살고 싶다”
■ [화보] 2012 강릉경포해변 비치발리볼 대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