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합의 못해 여론조사 중단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이 늦어질 전망이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최근 열린 운영위원회에서 동학혁명의 국가기념일 제정을 논의했으나, 각 지역 기념사업단체들이 여론조사 등 추진 일정안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해 여론조사 계획을 잠정 중단키로 결정했다고 2일 밝혔다.
기념재단은 기념일 제정이 그동안 각 단체간 합의가 안 돼 장기화하자, 지난 5월 여론조사로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을 추진했으며, 이달 초 국민과 유족 등 2000명을 상대로 여론조사를 실시할 예정이었다. 기념재단은 지난 6월12일 동학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을 위한 여론조사 기준 설명회를 가졌으나 일부 단체가 “국가기념일을 여론조사로 결정하는 것은 문제가 많다”며 강력 반발했다.
이용이 기념재단 사무처장은 “혁명 선양사업 등을 위한 절대적 명제는 국가기념일을 제정해야 하는 것”이라며 “여론조사 추진 여부, 주요 기념사업회와 다시 협의하는 방안, 기념일을 아예 정하지 않는 방안 등을 놓고 이달 말까지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2010년에 설립됐으며, 기념일 후보로는 △고부군수를 몰아낸 고부기포일(2월15일) △2004년 동학농민혁명 특별법 공포일(3월5일) △혁명 창의문을 발표한 고창 무장기포일(4월25일) △농민군이 최초로 승리한 정읍 황토현전승일(5월11일) △전주화약을 이끌어낸 전주성점령일(5월31일) △최대 격전을 벌인 우금치전투일(12월5일) 등이 꼽힌다. 전주/박임근 기자pik007@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사재혁, 팔꿈치 꺾일 정도로 바벨 붙잡다니…
■ ‘파업 진압’ 컨택터스, 노조 파괴하려 위장취업까지
■ ‘신월동 뱀’ 범인은 건강원 사장이었다
■ 울고 웃고 삐치고…로봇 감수성 ‘살아있네’
■ [화보] 웃음을 참지 않으셔도 됩니다
■ 사재혁, 팔꿈치 꺾일 정도로 바벨 붙잡다니…
■ ‘파업 진압’ 컨택터스, 노조 파괴하려 위장취업까지
■ ‘신월동 뱀’ 범인은 건강원 사장이었다
■ 울고 웃고 삐치고…로봇 감수성 ‘살아있네’
■ [화보] 웃음을 참지 않으셔도 됩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