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도 취업·창업 지원기관 두기로
긴급보호·상담 전문센터도 운영
사회적기업 ‘다행복카페’ 설립계획
긴급보호·상담 전문센터도 운영
사회적기업 ‘다행복카페’ 설립계획
서울시가 23일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결혼이민여성과 그 자녀들을 위한 지원계획을 내놨다. 국제결혼이 늘면서 서울에만 결혼이민자와 다문화 자녀가 7만명에 이르지만, 이들에 대한 체계적 지원이 부족한데다 시민의 부정적 인식이 높아간다는 문제의식에 따른 것이다.
이달 초 기준 서울 거주 결혼이민여성은 4만8597명으로 2007년 5월 3만5897명에서 35.4% 늘었다. 이들의 자녀는 같은 기간 5035명에서 2만6008명으로 5배 이상 증가했다. 서울은 전국에서 경기도 다음으로 다문화가족이 많지만, 이들의 현실은 열악하다. 2010년 서울시 실태조사 결과 등을 보면, 결혼이민여성의 80% 이상이 일상생활에서 언어나 경제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절반이 넘는 54%가 임시직·일용직으로 일하고 있었다. 성폭력이나 가정폭력을 경험한 이들은 2007년에 견줘 290%가 늘었다. 다문화가족의 43%가 일상생활에서 차별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서울시는 이에 따라 결혼이민자의 정착과 자립을 위해 별도의 취업·창업 지원기관을 두고, 긴급보호나 상담 등 이들의 인권보호를 위한 전문 상담센터를 운영하기로 했다. 결혼이민여성만을 고용하는 사회적기업인 ‘다(多)행복카페’를 설립해 성과를 보아 사회적 프랜차이즈 기업으로 발전시켜 간다는 계획이다.
또 결혼이민여성과 일반 학부모를 소규모 모임 형태로 엮어 자녀 교육에 도움을 주고, 5~10살인 저소득층 다문화 자녀 1000명에게 방문학습지 교육을 하기로 했다. 10개국 언어로 된 육아정보 동화집도 보급한다. 시정 모니터링단에 결혼이민여성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등 사회 구성원으로서 참여 기회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칼부림’ 김씨, 회사서 특별히 왕따는 아니었다”
■ 원탁회의 “안철수 대선출마하라”…개혁진영과 협력준비 촉구
■ 박근혜 “안원장 룸살롱 논란 본인이 밝혀야”
■ 사우나 토크로 시원한 웃음 제조하는 ‘해피투게더’
■ ‘홍대 스타일~’ 수입 오토바이의 질주
■ 파업기자 ‘보복 징계’ 난무…공정보도 약속도 헌신짝
■ [화보] 돌아온 카라 ‘더이상 소녀가 아니예요’
■ [단독] “‘칼부림’ 김씨, 회사서 특별히 왕따는 아니었다”
■ 원탁회의 “안철수 대선출마하라”…개혁진영과 협력준비 촉구
■ 박근혜 “안원장 룸살롱 논란 본인이 밝혀야”
■ 사우나 토크로 시원한 웃음 제조하는 ‘해피투게더’
■ ‘홍대 스타일~’ 수입 오토바이의 질주
■ 파업기자 ‘보복 징계’ 난무…공정보도 약속도 헌신짝
■ [화보] 돌아온 카라 ‘더이상 소녀가 아니예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