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구로디지털단지 등도 ‘보행전용구역’ 시행 방침
시속 30㎞ ‘저속 차로제’로 자전거 이용 활성화도
시속 30㎞ ‘저속 차로제’로 자전거 이용 활성화도
서울시가 내년부터 명동과 구로디지털단지, 동대문디자인플라자파크 일대를 차량 통행을 전면 금지하는 ‘전면적 보행전용구역’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자전거를 타는 사람의 안전을 위해 가장자리 차로의 차량 속도를 시속 30㎞로 제한하는 ‘저속 차로제’도 도입한다.
서울시는 6일 월례 간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정책방향을 논의했다. 전면적 보행전용구역 지정 대상 지역은 걷는 사람이 많은 주요상업지역으로, 명동 일대의 경우 지금도 대부분의 거리가 오전 10시부터 밤 11시까지 차량 통행이 금지된 ‘차 없는 거리’로 지정돼 있다. 전면적 보행전용구역이 되면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에서 4호선 명동역에 이르는 지역 전체가 24시간 차량 통행이 금지된다. 시는 지역 상인들과 올해 말까지 영업용 차량 통행 여부 등 구체적인 방식을 협의해 내년 중 시행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와 함께 다양한 형태의 보행전용거리를 늘려가기로 했다. 시간당 3000대 이상의 차량이 다니는 종로구 세종로와 용산구 이태원로는 주말 전일제나 시간제로 보행전용거리를 운영하고, 종로 대학로나 영등포역 맞은편 영중로, 대중교통 전용지구로 지정된 서대문 연세로는 차선을 줄이고 보도를 확대해 보행여건을 개선하기로 했다. 이태원 음식문화거리나 가구거리, 지하철 6호선 상수역 인근 어울마당로, 종로 정독도서관 옆 북촌로5가길은 주말에만 전일제로 차량이 통제되는 보행자 전용거리로 조성된다.
아울러 시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와 자전거 이용자 안전을 위해 가장자리 차로의 차량 통행 속도를 시속 30㎞ 이하로 제한하는 ‘저속차량 우선차로제’ 도입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청계광장에서 신답철교에 이르는 5.9㎞의 청계천로를 시간제 가변 자전거도로로 운영하거나, 지하철 역사 내 밀폐형 자전거보관함이나 도난·훼손 우려가 없는 건물형 자전거 주차장을 늘리는 등 자전거 주차장도 확충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교통정책의 패러다임을 자동차 중심에서 보행자와 자전거, 대중교통 중심으로 바꾸고 자전거의 수송분담률도 2014년까지 5% 수준으로 확대해가겠다”고 밝혔다. 2010년 서울의 자전거 수송분담률은 2.58%로, 독일이나 덴마크, 일본의 25% 수준에 견줘 턱없이 낮은 편이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정준길, 2002년 BW비리 수사검사…‘안철수 저격수’로 발탁설
■ ‘두루미’로 위장한 푸틴
■ “살인범 가족 수시로 마주쳐”…‘통영사건’ 가족 결국 고향으로
■ 물리적 거세법안 여당서도 “과도하다”
■ “MB정부 장관 보좌관들 비밀조직 묵우회 운영”
■ ‘4년전 악몽’ 나영이네 “피해자 복지 탁상행정에 억장 무너져”
■ [화보] 알록달록 색 입은 가을
■ 정준길, 2002년 BW비리 수사검사…‘안철수 저격수’로 발탁설
■ ‘두루미’로 위장한 푸틴
■ “살인범 가족 수시로 마주쳐”…‘통영사건’ 가족 결국 고향으로
■ 물리적 거세법안 여당서도 “과도하다”
■ “MB정부 장관 보좌관들 비밀조직 묵우회 운영”
■ ‘4년전 악몽’ 나영이네 “피해자 복지 탁상행정에 억장 무너져”
■ [화보] 알록달록 색 입은 가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