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효과 7000억” 선전했지만
상주인력 100명 대형창고 불과
“도지사가 주민 우롱하나” 분통
상주인력 100명 대형창고 불과
“도지사가 주민 우롱하나” 분통
“눈 가리고 아웅도 유분수지…, 도지사와 시장까지 합세해 주민들을 우롱하는 게 말이 됩니까?”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삼리에 지어진 ‘경기도 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 개장을 앞두고 인근 주민들이 분을 삭이지 못하고 있다. 유통센터 안에 농협 하나로마트 같은 대규모 농산물소매센터를 입점시켜 ‘유동인구 하루 1만명, 상주인력 2000명, 고용창출 1000명’의 경제효과를 내겠다던 경기도와 광주시의 홍보가 모두 거짓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국비와 도비 480억원을 들여 곤지암읍 삼리 6만9105㎡에 지하 1층, 지상 3층, 전체면적 2만5927㎡짜리 국내 첫 친환경농산물 전용 유통시설을 지었다. 집배송장, 선별포장장, 저온저장고 등이 들어선다. 유통센터에는 18개 도매법인이 입주한다.
도는 그동안 “센터가 개장하면 7000억원의 경제효과를 유발한다”고 선전했고, 지난해 5월 착공 때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센터는) 정부가 광주시민에게 준 선물”이라고 분위기를 띄웠다. 광주시도 각종 홍보매체를 통해 이를 인용했다. 이에 곤지암 일대에 200여가구의 원룸 빌라가 들어서는 등 주민들은 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감으로 한껏 부풀어 있었다.
그러나 15일 개장을 앞둔 이 센터는 인구 및 경제 유발 효과가 있는 소매시설은 없고 사실상 대형 창고인 것으로 확인됐다. 상주인력은 100명 안팎에 불과하고, 농산물 운반차량만 들락거려 주민들의 기대는 물거품이 됐다.
2006년 사업 추진 당시에는 소매시설을 만들 구상이었으나 2008년 한국개발연구원(KDI) 예비타당성조사에서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분석으로 사업비가 720억원에서 480억원으로 줄고, 도매물류 위주로 운영계획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기도와 광주시는 이런 사실을 주민들에게 알리지 않은 채 센터 유치 홍보에만 열을 올렸다.
이장단협의회가 집단행동에 나서는 등 반발 움직임을 보이자, 도는 뒤늦게 직거래 장터 설치와 농산물 판매장 건립 의사를 전달했으나 주민 불만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도 관계자는 “경제적 파급 효과 등 각종 수치는 애초 사업계획 용역 당시 나온 것이어서 현재 주민들을 설득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안철수 탐구…‘약자 배려’ 강조하면서도 늘 ‘성공’했다
■ 돌아온 김무성, “부유세 신설” 외치며 복지확대 비난
■ 회장 딸들 손 떼도…‘재벌 빵집’ 영업은 계속된다
■ 주폭도 ‘무전유죄 유전무죄’
■ 2년전 ‘의경 사망’ 충남기동대서 또 물의
■ 올랑드 “초등학생 숙제 없앤다”
■ [화보] 화해의 소주 원샷한 싸이와 김장훈, '캬!
■ 안철수 탐구…‘약자 배려’ 강조하면서도 늘 ‘성공’했다
■ 돌아온 김무성, “부유세 신설” 외치며 복지확대 비난
■ 회장 딸들 손 떼도…‘재벌 빵집’ 영업은 계속된다
■ 주폭도 ‘무전유죄 유전무죄’
■ 2년전 ‘의경 사망’ 충남기동대서 또 물의
■ 올랑드 “초등학생 숙제 없앤다”
■ [화보] 화해의 소주 원샷한 싸이와 김장훈, '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